학술논문
사이트 담론의 역사적 고찰과 비전
이용수 169
- 영문명
- Site as a Discourse: Theoretic Development and its Vision
- 발행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 저자명
- 진휘연(Jin, Whuiyeon)
- 간행물 정보
- 『Visual』vol.2, 32~4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piece of art works is always involved with a place where it is exhibited. It was built-in project from the beginnings, but through the modernization, a distinction took place between the art work and the space it is displayed. Since the Minimalism artists, questions on the real function of the space where the viewer experienced art works, were raised. In his writings, Robert Smithson explored the meaning of site and he differentiated it from the secondary, exhibitory space, so-called ‘non-site’. Site represents the historic geological sedimentation and it reveals the decay which transforming the energy from the good to bad, useful to obsolete.
Smithson’s argue gets even more power after other critics and art-historians developed the discourse of the ‘site’ and a number of art works were produced as either monuement, installation, or site-specific art. Among many names, Sooja Kim’s 〈Lighthouse Woman〉(2002) in Charleston is extraordinary. She worked on light for the lighthouse to lit the history and its meaning as a sacrifice to the town, and she changed the lighthouse to a woman. Dukhyun Cho buried thirty six iron dogs and digged them as significant artifacts which prove the real history of ‘Eso-guk’, the country existed two thousand years ago. He reversed the Smithson’s theory on the site, yet manipulated and enriched the narrative for the Eso guk.
목차
1. 사이트의 개념 - 일반적 이해와 보편적 기능
2. 스미슨의 사이트
3. 정치적 이론적 공간으로 전환된 사이트
4. ‘장소-구체적’ 작품들
5. 한국 작가들의 공간 사용과 구체적 - 장소성의 사용에 대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