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

이용수 1080

영문명
The Role and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모인순(Mo, In-Soo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4집 4권, 74~91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공예교육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60% 이상의 학생들은 거의 공예를 경험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의 공간과 시설 또한 공예교육을 시행하기에는 열악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2010년부터 문화예술교육의 한 분야로서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공예교육은 교육수요자와 공예인 모두에게 가치가 있는 사업이다. 앞으로 주 5일제 수업과 문화에 대한 국가적인 문화예술교육 정책으로 공예교육의 기회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우리 공예인들이 현대 사회에서 공예교육의 가치와 역할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여 일반교육에 맞춘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기본전제는 ‘공예교육이 학생들의 삶과 어떻게 연관될 것인가?’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초점을 ‘공예교육의 가치와 의미 제고’, ‘공예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개발’, ‘공예 강사의 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맞추었다. 한국의 교육계와 공예의 현장에서 이러한 모색들이 탐구되고 실천될 수 있다면, 본 사업의 구체적 목표인 ‘공예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 부여’, ‘공예 전문 강사 인력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공예교육을 통한 전통문화 계승 및 예술적 창의력 향상 도모’의 성과뿐만 아니라 정부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비전인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화 역량 강화’의 목표를 달성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Until now craft education doesn’t practice mostly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ore than 60% students doesn’t experience craft realm, and the space and equipments of schools are not sufficient for craft education. In the while craf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ated in 2010 by support of Korea Art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This is valuable opportunity for craft education consumers and craftsmen. Futhermore opportunity for art and craft education service will expand for 5 days school learning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of government. Then we recognize and explore contents in the value and the role of craft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fundamental premise is how does craft education relate to life of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mental directions in the craft education will ‘improvement of craft education’s value and meaning’, ‘systematic development of craft education’s programs’, ‘strength of craft educator’s ability’, and ‘connection of regional society’. We explore and practice these proposals in the Korean education and craft field, we will have the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educating craft, scout for craft educators and search for their’s jobs as well as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and elevation artistic creation. I think these targets achieved, we will reached ‘improvement of cultural quality for personal life’ and ‘strength of society’s ability’ in the government’s policy for art and culture vis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공예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Ⅲ.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모인순(Mo, In-Soon). (2011).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 조형디자인연구, 14 (4), 74-91

MLA

모인순(Mo, In-Soon).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 조형디자인연구, 14.4(2011): 74-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