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圃隱詩에서의 ‘梅花’의 形象

이용수 329

영문명
Shapes of a Plums in Poeun’s Poems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홍순석(Hong, Soon-seok)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8집, 63~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매화시 연구는 이황의《梅花詩帖》을 근간으로 점화되었다. 이어서 梅社同人과 개별 작가의 매화시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고려시대 매화시 연구의 한 작업이다. 중국 宋代에 이르러서 매화시 뿐만 아니라 매화도를 그리는 풍조가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麗末鮮初의 정권교체기에 매화시가 많이 지어졌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다. 실제 한국의 매화시는 宋代의 林逋, 王安石, 蘇軾, 陸游, 朱熹, 楊萬里 등의 매화시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圃隱의 梅花詩에 주목하였다. 《圃隱集》에 소재한 시작품에서 매화시는 13수에 지나지 않으나, 단일 소재로 형상화된 빈도수를 보면 비중이 크다. 포은의 시어에서도 ‘梅窓’ ‘梅村’ ‘梅花’ ‘梅花樹’ ‘早梅’ ‘黃梅’와 같이 ‘梅花와 관련된 시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圃隱詩에서 매화가 빈번히 등장하는 시기는 1377년(우왕 3) 奉使日本時 무렵이다. 이때 일본에서 지은 시가 13편이 전하는데 매화시가 7편이나 된다. 그리고, 奉使日本 이후의 시작품에서 매화가 자주 등장한다. 특히 1391년(공양왕3)에 李崇仁, 李穡, 李集, 權近 등과 함께 李居仁의 蘭坡園에서 지은 〈蘭坡四詠詩〉 가운데 매화시가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鄭道傳의 〈題蘭坡四詠軸末〉ㆍ〈蘭坡四詠後說跋〉과 함께 고려말 정권교체기에 同志이면서도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였던 이들의 意志를 가늠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of the plum was burned to Yi Hwang’s Maehwasichop in Korea. Then the researchers noted to plum poems of Maesadongin and the individual writers. This paper is a work of plum poems in Goryeo period. In China the plum painting trend was the spread in Song Dynasty, but in Korea a lot of poems about plum was worke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It was the period of regime changes. In fact, plum poems in Korea were influenced at works of Lin Bu, Wang An-shi, Su Shi, Lu You, Zhu Xi, Yang Wan-in in Song Dynasty. This paper noted in Poeun’s plum poems. The plum poems among of Poeunjip is nothing more than 13 poems. But plum has been shaped a large proportion by a single materials. Poeum is using often the plum as poetic language like the window overlooking the plum, with plum village, plum tree, early plum and yellow plum so on. When he was using a lot of plum was around to go to Japan as ambassadors in 1377. He worked 13 poems in Japan, but 7 poems is on the subject of a plum. Then the works after traveling to Japan is often have a plum. In particular, the plum poem among of Ranpasayoungsi is enough to attract the attention worked with Yi Sung-in, Yi Saek, Yi Jip, Gwon geun, Yi Geo-in so on in 1391. In this poem, we can gauge the willingness to try to preserve the resignation late Goryeo period.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圃隱의 삶과 시에 나타난 梅花의 형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순석(Hong, Soon-seok). (2011).圃隱詩에서의 ‘梅花’의 形象. 포은학연구, 8 , 63-91

MLA

홍순석(Hong, Soon-seok). "圃隱詩에서의 ‘梅花’의 形象." 포은학연구, 8.(2011): 6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