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

이용수 558

영문명
Curr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Art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ontent Structure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주은(Joo-eun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50집, 287~30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사는 오늘날 다양한 층위를 형성하는 시각문화를 보다 잘 읽을 수 있도록 돕는 학문으로 그 자체의 가치와 연구영역이 존재할 뿐 아니라 근대 계몽주의 사고 이후 교육의 장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온 분야이다. 따라서 미술사 영역은 대학교육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중등학교를 포함하여 교육의 전반적인 차원에서 폭넓게 다루어져야 한다. 현행 중등 미술 교과서는 2007년 7차 개정 교육과정안을 토대로 한다. 2010년을 기점으로 중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총 9종의 교과서들에 특이한 점이 있다면 중학교 1, 2, 3학년 과정이 통합되어 한 권의 교과서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2010년 개정 교과서는 새로운 개정안의 구체적인 사안들이 반영된 교과서가 아니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교과서를 평한다기보다는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사는 미술을 과거의 방식 그 자체로 보여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것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현재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현재 중등학교 미술교과서에서 미술사 영역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생생한 문화적 에너지를 다루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인덱스같이 사조를 나열한다거나 연표를 제시하는 데 그치는 미술사 교육으로는 학생들의 예술관 정립과 조형적 경험에 긴밀하게 다가가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수업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한 시각적 자료들을 통해 시각 체험의 기회를 가지게 되는데, 이 때 작품의 주제, 구도, 기법 외에도 시대적 배경과 맥락을 밝혀내고 생각해보게 하는 지도방안이 요구된다. 중등 미술교육의 목표는 손재주 좋은 기능인이나 감각이 좋은 디자이너를 만들어내는 단순한 과업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미술사 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시각적 읽기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미의식을 함양하는 교육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은 물론, 문화연구의 기회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등 미술교과과정에서 미술사와 관련된 내용이 좀 더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이 미술 수업에서 미술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짓고, 미술의 외적요소들을 함께 조망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학습내용을 점차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art history is not limited solely to showing art as a vehicle into the past, but show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as it relates to the present. However, the art history field in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s limited when it deals with the cultural energy that connects the past with the present. Art history education that is limited to listing art trends like index cards or displaying a chronological table can’t connect with students well enough to establish their art views and develop their aesthetic experience. In an art class in a real classroom,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for visual experiences through visual materials using various media. In this case a teaching plan that teaches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and its historical context as well as the theme, structure and techniques of the artwork is required. The goal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does not lie in the simple task of producing deft craftsmen or delicate designers. Through art history education we should offer students an effective visual reading training and an educational opportunity to develop aesthetic sensibilities. It should give them a chance to study and explore their own culture in a much broader sense.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ly, technical and appreciation aspects should be structured organically in a social reality. Secondly, students should be able to approach the traditional beauty in their daily lives. Thirdly, students should not only learn the patterns of each local culture and art style but be led to approach their spirituality. The contents related to art history need to suggest a more concrete and practical plan for the future.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s should gradually be introduced so that students can relate to art in an art class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the other elements of ar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미술교육에서의 미술사 교육의 의미
Ⅲ. 현행 9종 미술교과서 속의 미술사 내용분석
Ⅳ. 맺음말: 미술사 교육의 한계 및 강화해야 할 점들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은(Joo-eun Lee). (2011).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 교육연구, 50 , 287-305

MLA

이주은(Joo-eun Lee).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내용구성을 통해 본 미술사 교육의 현황 및 방향." 교육연구, 50.(2011): 287-3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