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이용수 967

영문명
Estimation of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Decisions of Small-Sized Household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김주원(Ju-Won Kim) 정의철(Eui-Chul Chung)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9卷 第2號, 123~1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구 구성의 다양화로 표현되는 인구학적 변화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주택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가구의 소형화는 그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향후 그 증가 추세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1ㆍ2인 가구를 소형가구로 정의하고, 소형가구의 주택점유형태와 주택수요 결정요인을 30대 이하와 40대~50대, 60대 이상의 3개의 연령대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30대 이하의 소형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주요 결정변수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주택수요에서도 소득의 탄력성이 다른 연령대보다 크다. 청년기의 자가 확대는 주거 안정뿐만 아니라 자산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이므로 자가 점유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들은 소득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고 자산의 증가가 예상되어 주거소비 확대가 가능하므로 이들의 수요에 맞는 적절한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대~50대 가구는 생애주기 단계상 가구의 확대와 함께 소득과 소비의 증가가 나타나는 단계로서 주택소비 또한 가구의 생애주기 단계 중 가장 확대된 모습을 보여야 하나 가구의 형성, 또는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40대~50대의 소형가구는 자가와 차가 모두 주택소비가 확대되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60대 이상의 소형가구는 소득은 적고 자산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으나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90% 이상이며, 76%가 자가 가구로 나타나고 있다. 자가 가구의 경우 주택소비에서 주요 변수들의 변화에 비탄력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자가의 주택소비 규모를 축소의 의향이 있는 가구에 대해서는 주거 이동에 대한 제약을 없애 주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주거이동을 원치 않는 가구를 위해서는 역모기지 활성화 등을 통한 부동산자산의 유동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analyze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decisions of small-sized households. To examine differential effects of their life cycle stages, we divided a sample of small-sized household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heads’ ages and separately estimated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equations for each age group.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s under 30 are more responsive to changes in permanent income, net wealth, and relative cost of housing in their homeowning decisions. Housing consumption of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s in 40’s and 50’s are shown to be constrained by their marital status such as divorce, separation, and death of their spouse. Households with their heads ages over 60’s, who have relatively low income and high housing wealth, are found to be les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key economic variables.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drawn for young and old groups: For young households, long-term low-rate housing finance and housing finance for first-time homeowners can improve their homeownership probabilities. For old households, policy instruments to smoothly adjust their housing consumption are needed such as tax benefits and reverse mortgag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Ⅲ. 실증분석모형
Ⅳ. 자료 및 변수측정
Ⅴ. 주택점유형태 선택모형 및 주택수요 함수 추정결과 및 해석
Ⅵ.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원(Ju-Won Kim),정의철(Eui-Chul Chung). (2011).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주택연구, 19 (2), 123-150

MLA

김주원(Ju-Won Kim),정의철(Eui-Chul Chung).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주택연구, 19.2(2011): 12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