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ousing Mobility Intention

이용수 4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서원석(Won-Seok Seo) 윤의영(Eui-Young Yoon)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9卷 第2號, 151~1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오하이오주의 주도인 프랭클린 카운티를 대상으로 이질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주거환경과 주택이동 의향의 관계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질적으로 변모할 한국의 주거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랭클린 카운티를 대상으로 한 근린지구 만족도에 대한 1,821명의 주택소유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주택이동 의향과 주택과 근린환경을 포함하는 총 31개의 설문항목을 이용해 군집분석과 주택이동 의향을 종속변수로, 군집분석을 통해 얻어진 다섯 개의 군집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군집요인 로지스틱회귀분석, 그리고 30개의 개별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개별변수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해 군집 및 개별 주거환경이 주택소유자의 주택이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주거환경 요소들 중 주택의 상태 또는 질적수준이 주택이동 의향의 정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곧 주택소유자들이 다른 요인보다는 주택의 물리적인 수준에 대해서 만족을 느끼지 못할 경우 이주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보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또한 주택의 규모와 주택가격 등도 주택이동 의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정인자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주택이동 의향을 결정짓는 주거환경은 사회적인 요소보다는 물리적인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개별주택에 대한 선호현상이 높은 미국의 주택이동 의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미국 및 서구선진국과 같은 주택선호 현상이 나타날 한국의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별주택의 다양성과 조화성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 전략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강력한 공공지역 관리방안의 수립을 통해 물리적 쾌적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세 번째, 개별주택지 또는 사유지에 대한 관리방안의 제정을 통해 사유지에 대한 이기적인 관리 또는 부실관리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근린지역 관리 및 도시환경 개선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 내 시민단체와 공공부문의 협력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causing housing mobility inten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Franklin County, Ohio, U.S.A., and to suggest the housing and urban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through the foreign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three findings. First, residents much consider the physical condition of house rather than service, proximity, and cost. Second, property values have a great impact on the residential moving intention, indicating that higher satisfaction for property values decrease the housing mobility intention. Third, the mobility intention is more associ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s than social environm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housing and urban management policy direction for Korea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more concentrate on the urban design strategy. Second, it is important the government’s role to prevent public and semi-public area dilapidation. Third, the governments should give stricter responsibility to residents for cleaning the private area, in a way of legislating code enforcement law. Fourth, neighborhood watch program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based citizen associ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clean community but also safe community. Overall, this study shows the rol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he neighborhood and community cycle. They also inform the directions of limiting neighborhood decline and alleviating and mitigating neighborhood and community cycles, specifically during periods of neighborhood declin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Area
Ⅳ. Data and Methodology
Ⅴ. Model Analysis
Ⅵ. Results
Ⅶ. Housing and Urban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References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원석(Won-Seok Seo),윤의영(Eui-Young Yoon). (2011).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ousing Mobility Intention. 주택연구, 19 (2), 151-170

MLA

서원석(Won-Seok Seo),윤의영(Eui-Young Yoon). "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ousing Mobility Intention." 주택연구, 19.2(2011): 151-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