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비자 선호판단 시, 사전 지식수준에 따른 물리적 및 평가적 속성정보 정렬성의 차별적 영향

이용수 348

영문명
The Differential Impact of Physical and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s Alignabilities on Consumer Preferenc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Prior Knowledge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정성희(Jung, Sung-Hee) 이경선(Lee, Kyung-Sun)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29권 제3호, 117~1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련의 정렬가능성 연구들은 물리적 속성정보에 한하여 연구되어왔다.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속성정보의 정렬가능성 정도에 따른 타겟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속성정보를 평가적 정보 형태로 제시하느냐 또는 물리적 형태로 제시하는 하느냐에 따라 타겟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더 나아가 소비자의 사전지식에 따라 더 크게 영향을 받는 속성정보에 대한 제시유형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현실적인 모형을 사용하기 위해 물리적 속성정보와 평가적 속성정보를 혼합하여 같이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 1의 결과를 보면, 물리적 속성정보에 대한 구조적 정렬가능성은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정렬 가능한 속성으로 우월한 경우, 타겟 브랜드에만 있는 속성,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 각각 달리 가지고 있는 속성의 순으로 타겟 브랜드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평가적 속성정보로 제시된 정렬가능성은 정렬 가능한 속성으로 우월한 경우가 가장 높은 타겟 브랜드 평가를 이끌어냈고, 타 겟 브랜드에만 있는 속성으로 우월하게 표현한 경우와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 각각 달리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 우월하게 표현하는 경우에는 타겟 브랜드 평가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를 통해서는 속성정보의 정렬가능성 정도와 평가적 속성정보의 정렬가능성 정도에 따른 타겟 브랜드 평가는 초심자와 전문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예측한 정렬가능성 정도를 제시하는 정보제시의 유형과 소비자의 사전지식 정도의 상호작용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실험 2를 통해서는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 각각 공통으로 갖고 있는 물리적 속성정보와 이와 상반된 평가적 속성정보를 제시한 경우, 초심자의 경우가 전문가의 경우보다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와의 평가 격차는 차이가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 각각 달리 갖고 있는 물리적 속성정보와 이와 상반된 평가적 속성정보를 제시한 경우, 전문가의 경우가 초심자의 경우보다 타겟 브랜드와 준거 브랜드와의 평가격차는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발견들이 갖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of alignability have usually dealt with product’s physical attribute alignability. But product information has evaluative attribute alignalbillity as well as physical attribute alignalbillity. So, this study showed influence of attribute alignability on a target brand evaluation depended on attribute information’s presentation types (e.g., physical attribute alignalbillity vs. evaluative attribute alignalbillity).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attribute information types of presenting alignability were heavily focused by consumer types (expert vs. novice) in detail. For the real world settings, we designed the experiment that mixed physical attribute alignalbillity with evaluative attribute alignalbillity for moderating variable as consumer prior knowledge. Ex. 1 showed that the target brand evaluation depended on alignability of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or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First, the impact of physical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target brand evaluation was most effective when it focused on alignable differences, less effective when it centered onmissing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s, and least effective when it emphasized different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s. Also, in the evaluative attribute alignability, themost favorable evaluation of the target brandwas formed in alignable differences. And the evaluation of missing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s was statistically same with the evaluation of different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s. Second, the effects of physical attribute alignability and evaluativ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target brand evaluation were not moderated by the consumer prior knowledge. That is, experts and novices evaluated higher in case of the evaluative attribute alignable difference than in case of the physical attribute alignable difference on the target brand evaluation. And experts and novices evaluated higher in case of the missing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 of the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than in case of the missing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 of the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target brand evaluation. Finally, experts and novices evaluated higher in case of the different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 of the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than in case of the different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 of the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target brand evaluation. Thus, the target brand evaluationwas notmoderated by the consumer prior knowledge. Ex. 2 was designed to examine evaluation gap between target brand and referent brand for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prior knowledge rigidly. First, in the alignable difference, the evaluation the gap in novices between the target brand with higher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lower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referent brand with lower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higher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was lower than that inf experts. Second, in the nonalignable difference, the evaluation gap in experts between the target brand with higher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lower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referent brandwith lower evaluat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higher physical attribute informationwas lower than that in no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결론 및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희(Jung, Sung-Hee),이경선(Lee, Kyung-Sun). (2011).소비자 선호판단 시, 사전 지식수준에 따른 물리적 및 평가적 속성정보 정렬성의 차별적 영향. 상품학연구, 29 (3), 117-131

MLA

정성희(Jung, Sung-Hee),이경선(Lee, Kyung-Sun). "소비자 선호판단 시, 사전 지식수준에 따른 물리적 및 평가적 속성정보 정렬성의 차별적 영향." 상품학연구, 29.3(2011): 117-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