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民墓마을의 경관 분포와 장소 의미

이용수 523

영문명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and the Meaning of Place in the Case of Traditional Grave Villag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권선정(Seonjeong Kwon)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3권 제1호, 26~4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전통 민묘 마을로 구분될 수 있는 대전 이사동을 사례로 그것의 경관 분포와 장소 의미 구성에 대한 지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사동은 조선시대 기호사림의 핵심 세력 중 하나인 회덕 恩津宋氏의 동족촌이자 集葬묘역으로 현재 1,000여기 이상의 묘소, 14개의 재실, 제의 관련 홀기 등 다양한 물질적 경관과 언표적 구성물이 확인된다. 먼저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인 풍수를 통해 마을 묘역의 의미를 읽어 보았는데, 마치 계획이라도 한듯이 좁은 묘역에 수많은 묘지가 질서정연하게 배치된 것은 풍수결정론적 술법을 뛰어넘어 문중 구성원 모두가 同氣間이라는 공동체 의식이 장소화 된 결과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경관‘경험’을 통한 장소 의미 구성 차원에서 볼 때, 마을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자연-인문경관, 삶-죽음 관련 경관, 물질적-언어적 경관들은 장소 의미 구성을 위한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서 위치지어 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 의미 구성과 관련하여 후기구조주의에서 강조하는‘배치’에 주목하였다. 마을에서 확인되는 수많은 물질적 경관과 언어적 재현ㆍ구성물들은 배치의 내용‘( 기계적 배치’)과 표현 영역‘( 언표적 배치’)을 이루는 실재적 요소들로서, 장차 이들을 의미 있게 배치시키는 문화적 장치에 대한 관심이 장소 의미 구성에 대한 지리학적 접근의 주요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place in the case of traditional grave village, which is called Isa-do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t has been famous for a collective grave-zone of the Eunjin-Songs, one of the powerful lineage groups in Joseon Dynasty.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 collective grave-zone of the village must have been resulted from the community spirits with which the Eunjin-Songs have shared for a long time. Second, lots of material landscapes and enunciative representations of the village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human subjects' experiencing that has to do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village. Very few villages have such various landscapes related to life and death as much as this village. Finally, I focused on the assemblages which are composed of the machinic assemblages and enunciative assemblag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place through the assemblages, we need to approach cultural filters and structural codes with great interest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사동의 자연환경과 마을 형성
3. 이사동 묘역과 경관 분포
4. 전통 민묘 마을 이사동의 장소 의미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정(Seonjeong Kwon). (2011).전통 民墓마을의 경관 분포와 장소 의미. 문화역사지리, 23 (1), 26-41

MLA

권선정(Seonjeong Kwon). "전통 民墓마을의 경관 분포와 장소 의미." 문화역사지리, 23.1(2011): 26-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