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靈山會上圖에 관한 상징과 의미 분석

이용수 327

영문명
An Analysis of Symbol and Meaning in Yeongsanheosangdo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염중섭(Youm, Jung-seop)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7호, 323~377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웅전 후불탱화로서의 영산회상도는 靈鷲山頂에서의 『법화경』설법을 상징한 것으로 조선후기에 정형화되는 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인 탱화이다. 그러나 도상의 구조와 내포의미에 관해서는 뚜렷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영산회상도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 『법화경』과는 다른 이질적인 관점들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고찰은 중요한 연구의미를 확보한다고 하겠다. 제II장을 통해서 필자는 조선시대 탱화의 원형구도가 중세와 근세의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문화적인 반영에 기인한다는 점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영산회상도의 원형구도 속에 등장하고 있는 군상들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내포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회상도와 『법화경』의 관계는, 일견 영산회상도가 『법화경』을 의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일반인식 다르다. 영산회상도는『법화경』을 바탕으로 하는 석가모니와 관련된 종합적인 群圖인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대승불교가 분석에 앞서 會通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제III장에서는 영상회상도에 내포되어 있는 화엄사상적인 인식에 관해서 고찰해 보았다. 이는 동북아의 가람배치나 金堂의 관점이 법화나 화엄에 일방적으로 치우치지 않고, 양자의 二而一적인 관계 속에 존재하고 있는 것과 상호반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관점은 '붓다의 존엄'과 '중생의 구원'라는, 둘 다 저버릴 수 없는 양자를 공히 성취시키기 위한 측면이라는 점에서, 영산회상도의 정당한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는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특징인 동시에, 불교의 종교적인 본연에 대한 완성의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Yeongsanheosangdo(as the background painting of Buddha's image in the main hall) symbolizes his serm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on the top of Mt. Grdhrakuta. It is the most general Buddhist painting in Korea that has been standardized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the painting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yet. Especially, even though it has the title of Yeongsanheosangdo, there are some unique viewpoints different from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In this respect, this study can secure an important meaning. In Chapter II, the author shows that the circular structure of Joseon Buddhist paintings was caused to reflect the cultural change during the middle and the modern ages. Based on it, the significance of people's position and size in the circular structure of Yeongsanheosangdo was analyzed. The relation of the Yeongsanheosangdo and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viewpoint that the Yeongsanheosangdo is a ritual description of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Yeongsanheosangdo is a painting of the comprehensive group related with Buddha based on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It seems to have come because the Mahayana Buddhism of Northeast Asia aims at the congregational communion rather than the analysis. Chapter III deal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Yeongsanheosangdo in the light of the Avatamska idea. It requires attention as it shows that the temple building arrangement and the golden hall viewpoint of Northeast Asia are not biased to either the Saddharma-pundarika or Avatamska, but exist in the one-in-two relation of the two. It is important for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Yeongsanheosangdo were the Northeast Asian Mahayana Buddhism tends to accomplish 'the Dignity of Buddha' and 'the Salvation of Multitudes' together and inalienably.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Asian Mahayana Buddhism, but also contain the meaning of completion for the religious nature of Buddhism.

목차

I. 序論
II. 영산회상도와 법화사상
III. 영산회상도와 화엄사상
IV.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중섭(Youm, Jung-seop). (2010).靈山會上圖에 관한 상징과 의미 분석. 불교학연구, (27), 323-377

MLA

염중섭(Youm, Jung-seop). "靈山會上圖에 관한 상징과 의미 분석." 불교학연구, .27(2010): 323-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