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레비의 가상화와 원효의 화쟁사상

이용수 117

영문명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and Wonhyo's Thought of Harmonization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효걸(Lee, Hyo-gul)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7호, 557~601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가상현실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가상현실이 넘치는 사회는 현실을 기반으로 형성된 근대적 자아 정체성을 해체시킨다. 그러므로 가상현실을 과학기술적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학적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가상현실을 인간학적 관점에서 탐구할 때, 가상현실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정신의 '가상화'문제다. 가상현실이라 할 때의 '가상'이란 말은 플라톤의 '시뮬라크라' 개념과 비슷하다. 그렇지만 플라톤의 시뮬라크라 개념은 복제물로서 무가치한 것이었으나, 질 들뢰즈(Gilles Deleuze:1925-1995)는 이것을 '원형을 뛰어넘어 자신을 창조하는 역동성'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들뢰즈의 이런 생각을 이어받은 피에르 레비(Pierre Levy:1956-)는 '가상(virtual)'에서 중요한 것은 현실에서 가상으로 향하는 이행이며 개체를 상승시키는 '가상화(virtualization)'라고 말한다. 가상화가 시공간적 무대에 고착되어 있는 현실화의 위험성을 고발하고 그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는 탈출로를 제공하고 있는 점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가상화를 통해 우리는 과연 자신을 창조하며 자족적 존재감을 맛볼 수 있는가? 가상화의 일종인 스토리텔링은 대리충족감을 주고 있으므로 레비의 가상화 개념에 자족적 존재감이 있는 것 같아 보인다. 그렇지만 스토리텔링의 충족감은 곧 '카타르시스'를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통한 억눌린 감정의 대리만족이며 심리적 보상을 말한다. 그것은 '하고자 한 바의 구현'으로서 자기충족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가상화의 자기충족은 외부세계에서 그 구현을 꿈꾸기 때문이다. 『대승기신론』의 관점에서 레비의 가상화를 본다면, 가상화의 의식활동은 의식의 자기분열 과정이므로 거기에 자족감이나 안정감이 있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레비의 가상화는 『대승기신론』의 一心二門 가운데 생멸문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레비의 가상화가 생멸문과 같지 않는 것은 진여문을 설정하지 않는 점에 있다. 『대승기신론』의 생멸문은 진여문의 자기전개에 지나지 않는다. 더구나 『대승기신론』은 진여문과 생멸문이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아는 깨달음을 얻는다면, 생멸문에서도 자기충족적 존재감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원효의 화쟁사상은 깨달음을 전제로 진여문과 생멸문을 두 축으로 하여 의식활동을 자유롭게 왕래하는 데서 자족적 존재감(自在)을 맛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레비의 가상화를 보면, 레비가 말하는 인간의 자기 창조는 한계가 엿보인다. 거기에는 자유로운 생각의 설정과 그 내재적 실현이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원효의 화쟁사상이 가상현실이 넘실거리는 우리사회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benefit of digital-technology development, we experience virtual reality everyday . However, a society filled with overflowing virtuality is dissolving our modern Self-Identity molded on the base of reality. Therefore, we have to approach the virtual reality from a humanics point of view as well as one of technology. When we study virtual reality from a humanics point of view, what matters the most in the virtual reality is the 'Virtualization' of the human mind. The meaning 'Virtual' in virtual reality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simulacra' suggested by Platon. The concept of 'simulacra' of Platon refers to 'the worthlessness' because it is nothing but a copy of reality; however, Gilles Deleuze(1925-1995) has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dynamism creating self-identity beyond originality'. Pierre Levy (1956-) succeeded the ideas of Deleuze and insists that the concept of 'Virtu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oncept of 'Virtuality'. It makes sense that we can predict the risk of 'Actualization' bounded to time-space stage unmovable and find the way to escape from the restriction of 'Virtualization'. Nevertheless, can we create ours elves and make our presence felt with self-satisfaction by virtualization? Story-telling(a kind of virtualization) gives us the sense of substitutive satisfaction and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seems to have the sense of self-satisfaction. In spite of that, as we can say that to experience the sense of satisfaction by story-telling is a kind of catharsis, we come to know that satis fact ion by story-telling is the substitutive satisfaction of depression or psychological compensation. Therefore, we cannot say it is the satisfaction previously mentioned because it is not the realization one wants to become true. The basic reason why the self-satisfaction by virtualization cannot be fulfill ed is located in realizing one's dream in the outside world If we examine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we find there is no self-satisfaction or stability because the activity of consciousness is the process of self-division. In addition, we can find that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seems to belong to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生滅問) of One Mind and Its Two Aspects(一心二問); however, we can come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at there is no set up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眞如問).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of The Awakening of Faith is nothing but another development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wakening of Faith, "If we can get the enlightenment that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is identical to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we can feel the sense of Human Being with self-satisfa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Wonhyo's thoughts on Harmonization, it is said that we can experience self-satisfaction as Human Being in consciousness-activity of freely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and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on the assumption that we have the enlightenment of One Mind. Considering Levy's concept of Virtualiz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mit of the creating self-identity mentioned by Levy is revealed to us because there is no free setting of one's own thinking and its immanent realization. This is the reason why Wonhyo's thought of Harmonization is glowing still more in our society of overflowing virtual reality.

목차

1. 서론
2. 가상현실과 레비의 '가상화'
3. 가상현실의 가상화가 새로운 인간을 창조하는가?
4. 가상화 행위로서 스토리텔링은 자족적 존재감을 주는가?
5. 레비의 가상화와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
6. 원효의 화쟁사상과 레비의 가상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걸(Lee, Hyo-gul). (2010).레비의 가상화와 원효의 화쟁사상. 불교학연구, (27), 557-601

MLA

이효걸(Lee, Hyo-gul). "레비의 가상화와 원효의 화쟁사상." 불교학연구, .27(2010): 557-6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