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쯔하이머형 치매의심 노인에서 행동 정신병리와 치매 정도와의 관계
이용수 34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Dementia and Behavioral Psychopathology in Probable Alzheimer's Disease
- 발행기관
-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저자명
- 윤정현(Jung Hyun Yoon) 기백석(Baik Seok Kee) 남범우(Bum Woo Nam) 김상국(Sang Kook Kim)
- 간행물 정보
- 『노인정신의학』노인정신의학 제2권 제1호, 73~7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인병원에 재원중인 환자들 가운데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의심되는 환자 98명중 72명을 대상으로 치매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MSE9)를 시행했고, 정신과적 행동병리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E-BEHAVE-AD10)로 평가해서 치매의 심한 정도와 행동장애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치매 환자들을 경도/중등도와 중증도로 나누어서 차이를 알아보려 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MSE로 평가한 치매의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방황과 망상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더 심해졌다. 2) MMSE를 사용하여 치매의 정도를 경도/중등도와 중증도의 두집단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치매가 심해짐에 따라 방황이 유의하게 더 심해졌다. 본 연구는 노인병원 재원 환자들이고, 횡단면적인 조사를 했으며,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사후 확진된 환자들이 아니었고, 연구 대상군의 크기가 다소 작았으며 경중등도 치매에서 행동병리가 높은 환자군들이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의의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했던 방황, 망상이 치매의 진행을 평가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Behavioral problems are thought to be pervasive and devasting to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d their families. Despite this, little empirical data are available concerning the nature of such impairments, their rate of occurrence or their relationship to the disease proc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the rates of behavioral disturbance among DAT patients. The su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72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nd had primary diagnosis of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Severity of the dementia was assessed by MMSE, and abnormal behavior by E-BEHAVE-AD. Pearson correalation was used to analysis dat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mild/moderate dementia group and severe, and then evalu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sed to analysis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andering and delusional ideation were associated with declining MMSE score 2) Wandering was only differenciated between mild to moderate group. In conclusion, problems found associated with level of impairment such as wandering and delusion are thought to be characteristic of the disease and therefore predictable. Problems found not associated with level of impairment, are likely to be idiosyncratic. The former should probably be incorporated into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he latter addressed as needed on an individual basi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한국 노인의 우울요인
-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는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 연구 - 치료단계별 놀이주제 및 놀이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E-Health Family Intervention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Aged 0–6 Years: A Scoping Review
-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a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Requesting Treatment for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Discrepancy Between Desired Time in Bed and Desired Total Sleep Time, Insomnia,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Among a Clinical Sample of Patients With Insomni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