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이용수 102

영문명
The Life Culture Index, To Whom and For What? : From Measurement to a Task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승원(Lee, Seoung-won)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18집, 11~4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반(反)생명'으로 정의될 수 있는 이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공동체 내에 속한 개개인 의 고통이 구성원들 상호 간에 서로 소통될 수 있는 나름의 지표(indicator)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 라는 지적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가 공동체 유지의 기본적 원칙이 되는 다양한 가치, 그리고 그 가치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제도와 의식들을 반성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반생명'적 경향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친생명'적 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생명문화지수는 첫째, 공동체의 합의틀과 질서가 언제나 구성원들의 생명보호라는 기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도록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생명문화지수는 공동체가 형성될 당시 사용되었던 지적 능력이 생명에 대해 상대적으로 협소하 거나 차별적인 인식을 만들었을 경우, 그것을 재검토하고 보다 친생명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글은 '고통관리(반생명성/친생명성)'와 '생명보호(자원접근성/연대성)'이라는 생명문화의 두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회 및 제도 차원에서의 생명문화의 수준을 파악할 것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 defined as 'anti-life', the basic start point can be to set up an indicator helping understand other members' pain and make a better communication among all members in certain community.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n intellectual work on 'the life culture index'. In particula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ife culture index' can guide us 1) to reflect key values of maintenance of a community and variou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based on those key values, 2) to overcome a tendency of 'anti-life' remained in those value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3) to reconstruct a new mode of a 'pro-life community'. In this sense, the life culture index has two crucial aims. The one is to check how agreement systems and orders of a certain community are well-balanced and satisfying the basic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life for all members. The other is to re-examine the intellectual level and tendency of human consciousness toward lif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principle of management of pain(anti-life/pro-life) and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life(capability of recourse approach/solidarity) as two principles of the life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무엇이 생명, 그리고 생명문화인가?
Ⅲ. 생명문화지수, 왜 제기되는가? - 필요성과 대상
Ⅳ. 생명문화지수의 구성 - 구성요소 배열의 문제
Ⅴ. 나오며 - 측정에서 과제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원(Lee, Seoung-won). (2010).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생명연구, 18 , 11-42

MLA

이승원(Lee, Seoung-won).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생명연구, 18.(2010): 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