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선 쿠스쿠스 La Graine et le Mulet>와 지중해권 해항도시 세트 Sète에 나타난 혼종과 소통의 미학
이용수 53
- 영문명
- Esthétique de l'hybridité et la communication dans La Graine et le Mulet et Sète, ville portière française méditerranéenne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이송이(LEE Song-Yi)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21집, 67~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a graine et le mulet, troisième long métrage d'Abdellatif Kechiche réussit à situer cet auteur dans la grande lignée du cinéma français et méditerranéen. Pourtant, Kechiche ne se présente pas seulement comme un véritable héritier de Renoir ou de Pagnol. Ce film permet aux spectateurs de trouver un changement profond dans le cinéma contemporain français. Le mélange de genres, celui de langues et de diverses tonalités dans ce film construisent un tissu riche d’une cohabitation des contraires et brouillent leur système de hiérarchie. Le gros plan et le plan d’ensemble que notre cinéaste privilègie représentent merveilleusement la richesse et l’énergie collective dans la culture méditerranéenne actuelle en France. Sète, c'est une ville qui possède une identité culturelle spéciale. Elle a une place qui oscille sans cesse entre tradition et avant-garde dans son histoire. Cette ville portière méditerranéenne se trouve un cadre parfait pour cette ode à la solidarité familiale. La ville d'artiste comme Georges Brassens devient un endroit qui reflète la mixité inévitable et potentiellement féconde entre les deux rives de la Méditerranée, A la fois réaliste et poétique, Kechiche représente l'hybridité dynamique dans la communauté méditerranéenne. Cette spécificité méditerranéenne que notre réalisateur montre, permet aux spectateurs de retrouver le vrai visage de la France d'aujourd'hui. C'est l'Hexagone métissé qui nous dévoile sa vitalité, ses apories et ses espoirs.
목차
1. 서론
2. 영화와 지중해 도시 세트
3. 혼종의 미학
4. 소통의 미학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파리시 그랑 프로제의 효용적 가치에 관한 고찰
- Bourdieu의 관점에서 문화와 교육의 관계 연구
- Au bord de la méditerranée, la lumière devient couleur
- 프랑스 무슬림 이민자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 아프리카 국가들에서의 탈식민 민족해방의 가능성
- 시상의 논증가치에 관한 연구
- <생선 쿠스쿠스 La Graine et le Mulet>와 지중해권 해항도시 세트 Sète에 나타난 혼종과 소통의 미학
- Baudelaire et Poe
- Etude sur le mot ≪ éclat ≫ dans La Princesse de Clèves de Madame de Lafayette
- 프랑스 광고에 나타난 상표/상품명 고유명사에 관한 연구
- 보드리야르의 초기 저서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에서 공공단체 간의 협력
-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 변이형과 교육적 규범설정
- Une généalogie de la notion d’habitus
- Les Français et la lecture
- 다음성이론에서의 화자, 발화자, 관점
- 올랭프 드 구주의 말과 글, 그리고 혁명적 페미니즘
- 영.불 통번역 교육과정 연구
- Luis Bunuel의 후기 영화에 드러난 전복의 미학
- 모랭과 미트리의 영화 이미지론
- 바스크어 현황과 전승문제 연구
- 앙토냉 아르토의 내적 드라마
- 행위중심접근법에 입각한 FLE교재 구성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