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tude sur le mot ≪ éclat ≫ dans La Princesse de Clèves de Madame de Lafayette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이충훈(LEE Choong-Hoon)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21집, 635~66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광채(éclat)”라는 단어의 어원 및 17세기 사전에 등장하는 용례를 검토하고, 이를 라파예트 부인의 소설 『클레브 공 부인』의 해석에 적용시킨 것이다. 이 단어는 통상 ‘눈을 부시게 만드는’ “광채”로 번역되지만 문맥에 따라 다양한 뜻을 가지며 여러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기도 하므로 번역이 어렵다. 우리가 참고한 17세기 사전 및 어원학 연구를 토대로 보면, 우선 이 단어의 일차적인 의미는 ‘외부에서 강한 힘이 가해져 쪼개진’ “파편”이나 “조각”이며, 의미가 좀 더 넓어져 이런 충격이 발생했을 때 나는 소리나 빛을 가리키기도 한다. 값비싼 장식이나 어떤 사람이 가진 훌륭한 외모나 재능이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낼 때도 사용되는데, 이경우는 “화려함” “사치”와 동의어이다. 한편 소리의 이미지를 강조했을 때 사람들이 어떤 이의 행동이나 처신을 두고 쑥덕거리는 “소문” 및 “스캔들”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이 단어의 동사형에 이러한 도덕적 의미가 있다. 이때 뜻은 ‘비밀에 감추어졌던 일’이 “공공연하게 알려”진다는 것이다. 라파예트 부인의 소설 『클레브 공 부인』에서 이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하는데, 매번 한 가지 의미만 갖는 것이 아니라 앞서 제시한 범주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또 동의어와 함께 사용되어 이 단어가 갖는 의미가 강화될 때가 많다. 무엇보다 이 단어는 소설의 배경이 되는 16세기 프랑스 궁정의 화려함과 낭비를 동시에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16세기 전반기에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영향으로 세속적이고 장엄한 르네상스 문화를 받아들였다. 이 단어는 새롭고 화려한 문화에 대한 충격과 찬탄을 나타내는데 적합하다. 그런데 이때 이 단어의 의미는 특별히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니다.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았던 16세기 프랑스 궁정문화는 보이지 않지만 정신의 눈을 ‘사로잡’는 신앙의 “광채”는 잊고 말았다. 결국 왕권을 유지․강화시켜주었던 “광채”가 사람들의 눈을 현혹시켜 도덕과 의무를 소홀하게 만들었다. 그 “광채”의 중심이었던 앙리 2세가 바로 부러진 창 “조각”에 눈을 다쳐 죽게 될 때 이 단어가 소설에서 갖는 의미가 즉각 드러난다. 재앙을 가져오는 불길한 “광채”를 피해 소설의 여주인공은 “광채 없는” ‘은둔’ 생활로 점점 깊숙이 숨어든다. 눈에 보이는 “광채”가 마음에 일으키는 정념의 혼란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마음만이 볼 수 있는 또 다른 “광채”를 느끼고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이 단어가 『클레브 공 부인』에서 우연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고는 볼 수 없다. 17세기 후반 랑부예 부인의 살롱에 라 파예트 부인이 드나들었고, 살롱에 모인 사람들 가운데 그녀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던 라로슈푸코가 있었다. 라 로슈푸코와 라 파예트 부인은 장세니즘에 동의하였고 사교계의 위선과 가식에 저항했다. 그들이 보기에 진정한 덕은 드물고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모습만을 좇고 있다. 허영에 눈이 먼 사람들에게 언제나 단호했던 라 로슈푸코는 끝내 오직 신만을 마주 볼 수 있는 ‘은둔지’를 택했으며, 라파예트 부인과 그녀의 여주인공도 역시 같은 길을 걷는다. 은둔지에서 정신의 눈을 밝히는 “광채”야말로 덧없이 사라져 버리는 궁정과 사교계의 “광채”와는 다른 구원의 “광채”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Sens du mot : étymologie et définitions
3. Emplois d'« éclat » dans La Princesse de Clèves
4. L'idée de retraite contre l'«éclat » dans Le Princesse de Clèves et chez La Rochefoucauld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파리시 그랑 프로제의 효용적 가치에 관한 고찰
- Bourdieu의 관점에서 문화와 교육의 관계 연구
- Au bord de la méditerranée, la lumière devient couleur
- 프랑스 무슬림 이민자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 아프리카 국가들에서의 탈식민 민족해방의 가능성
- 시상의 논증가치에 관한 연구
- <생선 쿠스쿠스 La Graine et le Mulet>와 지중해권 해항도시 세트 Sète에 나타난 혼종과 소통의 미학
- Baudelaire et Poe
- Etude sur le mot ≪ éclat ≫ dans La Princesse de Clèves de Madame de Lafayette
- 프랑스 광고에 나타난 상표/상품명 고유명사에 관한 연구
- 보드리야르의 초기 저서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에서 공공단체 간의 협력
-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 변이형과 교육적 규범설정
- Une généalogie de la notion d’habitus
- Les Français et la lecture
- 다음성이론에서의 화자, 발화자, 관점
- 올랭프 드 구주의 말과 글, 그리고 혁명적 페미니즘
- 영.불 통번역 교육과정 연구
- Luis Bunuel의 후기 영화에 드러난 전복의 미학
- 모랭과 미트리의 영화 이미지론
- 바스크어 현황과 전승문제 연구
- 앙토냉 아르토의 내적 드라마
- 행위중심접근법에 입각한 FLE교재 구성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