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

이용수 1072

영문명
Development of Evaluation and Assessment Model for Phonological Awrenes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석동일(Dong II Seok)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1권 제3호, 29~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음운인식은 언어장애 아동의 문해력(literacy) 기술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 발달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외에서는 표준화된 여러 검사 도구들로 음운인식 능력을 진단․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어 음운인식 진단․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에 포함되어있는 하위 과제 유형과 수, 과제별 문항 수, 과제 수행 방법 그리고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외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과제 유형에는 음절, 음절체-각운, 음소 순으로 변별, 분절, 탈락, 합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유형에는 음소수준의 초성, 중성, 종성 변별이 국외 검사 도구와 달리 주요한 하위 과제 유형으로 나타났다. 하위 과제의 수는 검사 도구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10개이며, 과제별 문항 수는 음절 및 음절체-각운 보다 음소수준에서 더 많았다. 과제 수행 방법은 대부분 피검자의 산출 반응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은 음운재부호화(phonological recoding), 음운부호재생(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글자지식(letter knowledge), 읽기 그리고 쓰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운인식 진단․평가를 위해 우선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되 이상의 구성적 및 방법적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honological awar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speech is made up of sentences that can be broken down into words, syllables, intrasyllabic units, and phonemes and is the ability to talk about, reflect upon, and manipulate these component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has natur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ability to read and spell. Therefore,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ASHA) asserted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 should take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literacy for these children. Nevertheless, we lack a standardized assessment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valuation and assessment model for phonological awareness. We primarily analyzed the task of phonological awareness, number of tasks, number of items each task and children response acts followed direction, and subsequently investigated other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phonological awaren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task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discrimination, segmentation, deletion and blending in syllable, rhyme and phoneme level. Particularly, in Korea, tasks examined initial consonants, middle vowel, and final consonants discrimination. Common tasks employed 4~10 tasks and production response. More items were included at phoneme level tasks than at syllable level. Second, additional tasks examined phonological re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letter knowledge, reading and writing.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음운인식 진단. 평가 모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동일(Dong II Seok). (2006).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 (3), 29-46

MLA

석동일(Dong II Seok).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3(2006): 2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