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이용수 143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Disfluencies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변재원(Jae Won Byun) 이은주(Eun Ju Lee)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9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3.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기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발화에 나타난 비유창성의 유형과 빈도, 총비유창성에 대한 진성비유창성(SLD)과 가성비유창성(OD)의 비율, 말더듬 정도, 평균반복단위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가중말더듬지수를 기초로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정도를 알아보고, 말더듬 경과기간이 지남에 따라 비유창성 측정치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말더듬이 시작된 지 6개월 이내에 있는 초기 말더듬아동 10명과 이들과 성별,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이었다. 연구결과, 총비유창성의 빈도, SLD의 빈도, 가중말더듬지수와 평균반복단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총비유창성에 대한 SLD와 OD의 비율에 집단간 차이를 보여 SLD가 말더듬 진단시 집단을 변별하기 위한 준거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중말더듬지수를 근거로 한 말더듬 정도 평가에서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정도는 약함보다는 중간이나 심한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을 통해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경과기간과 비유창성 측정치들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는 초기 말더듬은 그 시작시기부터 일반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고 상대적으로 심한 정도의 비유창성을 보일 수 있다는 최근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peech disfluencies between normal and stuttering children and the relation of TSO(time since onset of stuttering) to 5 measures of stuttering behaviors for stuttering children. Ten stuttering children aged 2 to 7 who are within 6 months since the onset of stuttering and 10 gender- and age-matched normally fluent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ech samples, collected for each subject were at least 200 syllables in length. All utterances during the task were video-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SO and the 5 dependent measures of disfluenc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ean number of SLD, mean number of repetition units, and weighted SLD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whereas the mean number of OD did not show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proportion of each type(SLD, OD) in the total disfluencies differentiated the two groups. (2) The two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weighted SLD scores. The stuttering severity of children near the stuttering onset was moderate to severe, rather than mild. (3) Within the stuttering children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SO and any of the 5 measures of stuttering.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taken to suggest that certain measures of speech disfluencies, such as weighted SLD scores and proportions of disfluencies, can serve as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for differentiating stuttering children and normally fluent children.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재원(Jae Won Byun),이은주(Eun Ju Lee),심현섭(Hyun Sub Sim). (2004).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9 (1), 1-14

MLA

변재원(Jae Won Byun),이은주(Eun Ju Lee),심현섭(Hyun Sub Sim). "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9.1(2004):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