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령증가에 따른 MMN의 변화

이용수 158

영문명
Aging Effects of MM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탁평곤(Pyungkon Tark) 김진숙(Jinsoo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1호, 203~21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3.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Mismatch Negativity (이후 MMN이라고 한다)는 뇌가 자동적으로 표준자극음과 이탈자극음의 차이를 탐지했을 때 유발되는 사건관련전위의 한 구성성분으로 피검자가 자극음에 주의집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그룹(만 18- 24세, 11명)과 장년집단(만 45- 60세, 8명)으로 나누어 주파수를 달리했을 때 유발되는 MMN의 잠복기와 진폭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표준자극음으로는 주파수를 750 Hz, 자극간 간격은 800 ms, 강도는 75 dBHL로 하였고 이탈자극음은 주파수를 1,000Hz로 하고 그외 조건은 표준자극음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리고 표준자극음의 제시빈도는 80%이고 이탈자극음의 제시빈도는 20 %로 하였고 검사회기마다 자극음의 횟수는 400번이었 다. 연구결과 잠복기는 연령별로 효과가 있었고 진폭은 연령별효과가 없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청년집단이 장년집단보다 두 자극음의 차이를 훨씬 더 빨리 자동탐지한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더 많은 환자를 검사하여 MMN의 잠복기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Deviant tones randomly embedded in a sequence of standard tones elicit event - related potentials (ERPs) called the Mismatch Negativity (MMN), which reflect automatic stimuluschange detection in the human auditory system. The MMN was measured of 10 adult s (18- 24 year s) and 6 elder s (45-60 years) with normal hear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aging on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Each subject was instructed not to attend to tones by singing three songs. The tones were binaurally presented to the subject in a random order (probability of 0.2 for deviant s). A 750 Hz tone with 1-36- 1 cycle served as the standard tone. The deviant tones were similar to the standard except for the 1000Hz frequency (1-48- 1 cycle). Interstimulus interval was 800ms. The MMN peak latency and onset latency of the elder group were 268 ms and 207.33ms, respectively. The MMN peak latency and onset latency of the younger group were 209ms and 171.00ms, respectively. The MMN latenc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ing (p < 0.05). However, the MMN amplitude of the elder group was - 2.24 V and that of the younger group was - 2.26 V. The amplitude effect was insignificant (p > 0.05).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younger group det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nes faster than the elder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탁평곤(Pyungkon Tark),김진숙(Jinsook Kim). (2002).연령증가에 따른 MMN의 변화.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 (1), 203-213

MLA

탁평곤(Pyungkon Tark),김진숙(Jinsook Kim). "연령증가에 따른 MMN의 변화."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7.1(2002): 203-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