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칠보유약의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2
- 영문명
- The Research of Componential analysis of Chilbo Glaz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정자(Park Jung - Ja)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1집 1권,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carried out an ingredient analysis of the glaze in Chilbo Craft Work in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flexibility and Firing effect in the work.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the ingredient analysis, the experiment of the Chilbo glaze.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chemical ingredient analysis and an elementary analysi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ingredients of the glaze, 52 colors of transparent glaze and 15 colors of non-transparent glaze which reach 67 colors in total. The common major elements found both in non-transparent and transparent glazes were Si(Silicon), Cd(Cadmium), Pb(Plumbum), and O(Oxygen). Such elements of C(Carbon), Na(Natrium), K(Kalium), Zr(Zirconium) were found much more in transparent glazes than in non-transparent glaze. The research in this thesis carried out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Chilbo glaze's ingredient in order to show the flexibility of the Pb(Plumbum) ingredient in manufacturing and
preparation for the craft work. This thesis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of the Chilbo craft work and to activate the Chilbo craft art work.
목차
Ⅰ. 서론
Ⅱ. 칠보유약의 일반적 고찰
Ⅲ. 칠보유약의 성분분석과 실험연구
Ⅳ. 결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