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페미니즘(Feminism) 미술에 나타난 공예와 여성의 상관적 정체성 연구
이용수 1967
- 영문명
- A Study on Craft and Woman's Interrelational Identity in Feminism Art -Centered on Judy Chicago's Dinner Party and Miriam Schapiro's Femmag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남희(Park, Nam-Hee)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1집 1권,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70년대를 전후한 20세기 후반 예술은 넓게는 다원주의적 양상을 특징으로 한다. 다원주의적양상은 영역의 확장이나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으로 드러나는데, 여러 인종, 문화, 성의문제가 복합적으로 매개된 작업들이 시도되었다. 그러한 배경아래 여성과 공예는 1970년경 새롭게 재조명된 이슈들로서 페미니즘 미술이라는 범주에서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 글은 그와 같이 주류미술사에서 폄하된 존재로서의 ‘여성’과 ‘공예’의 상관성에 주목하고
이들을 재조명하게 했던 대표적인 페미니스트 주디 시카고와 미리암 샤피로의 작업을 통해 양자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1970년대 미국사회의 상황에서 두 예술가가 페미니즘 미술 속에 여성성과 공예의 정체성을 페미니즘 미술과 ‘패턴과 장식미술’운동 등을 통해 전개해나가는 과정을 비롯해 구체적인 작품들의 사례로 각각 ‘디너 파티’와 ‘파마주’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1970s was age of feminism where people wanted to secure female expansion and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interests. Following the atmosphere of the society, also in the field of fine arts, criticism of feminist art history and furthemore, interests and works about sexuality, started to increase. In the fine arts, especially in the field of pictures and sculptures, in spite of criticism and discoveries on feminism fine arts, which have been going on, there are no movements on the verification of the role of feminist artists. Modern crafts
have developed remarkably across after 1970s, with this past earth which has innumerable possibilities, have spread acrsoo on front of us through new process of perceptions. In this thesis I have mainly analyzed the 'Dinner Party' of Judy Chicago and the 'Femmage' of Miriam Schapiro.
목차
Ⅰ. 서론
II. 페미니즘 미술과 공예의 재조명에 대한 이론적 고찰
III. 결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