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 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03

영문명
Work-Family Spillover in Female Workers : How Their Personal and Workplace Situations Affect the Work-Family Relationship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김효선(Kim, Hyosun) 차운아(Cha, Oona)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4집 2권, 69~10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한국의 여성관리자가 경험하고 있는 일-가족 전이의 유형을 확인하고 일-가족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요인을 가족상황, 업무특성, 조직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일이 가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에만 관심을 가졌던 기존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일-가족 전이 모형에 기반,일과 가족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일-가족 전이 모형의 가정과 일치하게 일과 가족간의 상호작용에는 부정적 전이 뿐 아니라 긍정적 전이가 존재했으며, 부정적 전이의 경우에는일에서 가족으로, 그리고 가족에서 직장으로의 방향성에 따라 구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가족상황변인, 업무특성변인, 조직상황변인의 효과는 일-가족 전이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어 나타났다. 부정적 전이의 경우 업무관련변인 중 특히 총근무시간, 근무외 모임 빈도와 같이 업무부담이 높고 대고객업무비율과 직무스트레스와 같이 스트레스 요인이 높을수록 부정적 전이가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련변인에서는 가족의 지원이 적을수록, 조직관련 변인에서는 일-가족 조직문화 그 중에서도 특히 가족친화적 제도의 활용이 경력에 부정적 영향을미칠 것이라는 인식(경력영향)과 성과주의의 경쟁적 풍토에서 비롯되는 많은 업무 시간의 기대(시간요구)와 관련된 차원이 부정적 전이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가족 전이의 방향성에 따라 특히 업무 및 조직 관련 변인은 특히 일에서 가족으로의 부정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전이의 경우 가족의 지원과 조직의 관리적 지원이 독특하게 일-가족 긍정적 전이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변인이 구분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결과는 여성근로자의 관리 측면에서 일-가족 전이의 유형을 구분해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가족 간의 긍정적 전이를 촉진하고 부정적 전이를 둔화시킴에 있어 접근해야 할 방안이 구분되야 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e of female workers in the workforce,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has become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effective organizations. Using the second wave of panel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Female Mangers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9),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work-family relationship in Korean female workers and to determine how situations regarding their personal lives and their workplace affect the relationship. Especially, this research adopted the work-family spillover model, which emphasizes the dynamic nature of the work-family relationship. Consistent with the work-family spillover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nature of the work-family relationship can b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influence mattere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Work-to-family negative spillover and family-to-work negative spillover were found to be distinct. the effects of situation variables regarding family, work and organization we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work-family spillover. Less support from one's family, more working hours, more interaction with customers, higher level of work-related stress, and work-family (organization) culture with negativ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devoting time to family responsibility and with greater time demands led to higher degree of employees' negative spillover. On the other hand, more support from one's family, less work-related stress, and work-family (organization) culture with greater managerial support were found to contribute to employees' positive work-family spillover.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distinguishing various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in order to manage female workforc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제한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선(Kim, Hyosun),차운아(Cha, Oona). (2010).여성 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 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 (2), 69-104

MLA

김효선(Kim, Hyosun),차운아(Cha, Oona). "여성 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 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2(2010): 6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