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전 아동의 대화유창성 및 의사소통 회복전략 평가

이용수 1265

영문명
Assessment of Preschoolers’ Conversational Fluency and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권혜주(Hye Joo Kwon) 김덕용(Duk Young Kim) 김향희(HyangHee Kim) 신지철(Ji Chol Sh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3호, 257~27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원활한 대화능력이 부족한 것은 대부분의 언어장애 아동들에게 큰 문제가 되고있으며, 반드시 정확한 평가와 중재가 필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는 3, 5, 7세 정상발달 아동을대상으로 대화유창성과 의사소통 단절시 회복전략에 대하여 살펴보아, 그 발달 과정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남아 58명(3세 18명, 5세 19명, 7세2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후 연구자가 대화를 전사하여 100 차례의 대화구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먼저, 대화유창성을 측정하는 요소로, 1) 전체 발화 중 의사소통단절의 횟수, 2) 전체 발화 시간 중 의사소통 단절 후 회복까지 걸린 시간, 3) 전체 발화시간중 침묵이 차지하는 시간, 4) 검사자가 느끼는 아동 발화의 정보력 정도, 그리고 5) 새롭게도입된 대화 주제의 수를 측정하고, 또한, 의사소통 단절과 관련하여서는, 1) 의사소통 단절회복전략과 2) 회복 성공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첫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침묵구간이 차지하는 비율, 청자가 느끼는 아동의 어색한 침묵구간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둘째, 청자가 느끼는 아동의 일방적인 발화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고, 유용한 정보교환의 양은 늘어났다. 셋째, 의사소통 단절 횟수와 단절 회복에 사용된 시간의 비율도 줄어들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절에 대한 요소도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의사소통 단절 회복에 성공한 비율은 5세와 7세가 3세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5세와 7세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단절 회복시 사용한 전략의 종류에는, 3세와 5세 아동은 수정유형보다 반응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7세 아동은 두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반응유형 중에서는, 3세 아동은 단순반복과 부적절한 반응을 7세보다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였다. 수정 유형 중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정확한 구어 반응이 많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아동의 대화유창성 발달을수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 아동의 의사소통 단절 회복전략 발달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versational fluency and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of three-, five- and seven-year-old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boys living in Seoul. Our study included 58 participants: 18 in the three-year-old group, 19 in the five-year-old group and 21 in the seven-year-old group.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silent room with an adult female experimenter, who was blind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was unknown to any of the participants. The experimenter chose a picture from 20 topic pictures and suggested it as a conversation topic. This method of providing a conversational topic was standardized from previous articles. Progress was recorded on video. After the experiment ended, the researcher watched the video, produced a script for each child, and then analyzed 100 turns of the script. The following elements were analyzed: 1) conversational fluency elements: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breakdown the percent of time from when the conversational breakdown happened to when the conversation was repaired and the percent of time the two spent in silence. The researcher’s impressions and reactions to the children and their conversations were scored using five-point rating scales the number of chosen topic pictures was also assessed. 2) Conversational breakdown elements: Conversation repair strategies and the percent of successful repairs of the broken conservat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 of silent time and the duration of a scaled awkward paus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Second, one-way convers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meaningful exchange of inform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Therefore, the listener’s impression of fluent conversation improved with age. Thir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al breakdown and time spent to repair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ge. Fourth, younger children preferred a receptive strategy to an expressive strategy, and the seven-year-old boy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se strategies. For the receptive strategy, the three-year-old boys chose a repetition strategy or an inappropriate strategy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an did the seven-year-old boys. For the expressive strategy, a non-specific verbal type of expressive strategy was significantly preferred with increasing age.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clinical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numerical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Korean children’s conversational fluency and conversational breakdown repair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혜주(Hye Joo Kwon),김덕용(Duk Young Kim),김향희(HyangHee Kim),신지철(Ji Chol Shin). (2009).학령전 아동의 대화유창성 및 의사소통 회복전략 평가.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 (3), 257-274

MLA

권혜주(Hye Joo Kwon),김덕용(Duk Young Kim),김향희(HyangHee Kim),신지철(Ji Chol Shin). "학령전 아동의 대화유창성 및 의사소통 회복전략 평가."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3(2009): 257-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