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竹儂 徐東均의 묵죽화 연구

이용수 143

영문명
A Study on Chinese Ink Bamboo Painting by Juknong, Su Tong-Kyu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태수(Jung, Tae-Soo)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0호, 178~205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竹儂 徐東均(1902-1978)은 조선미전과 국전시대에 활동한 작가로서 사군자에 뛰어났으며 특히 대나무 그림으로 근대 서예계에서 대구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일반적으로 그의 작품에 대한 시대구분은 아호를 竹農으로 사용한 청장년기와 竹儂으로 사용한 후기로 나눈다. 앞 시기가 의욕에 넘치는 활달한 붓움직임을 보이면서도 미완성의 여지를 보이는 시기라면, 뒷 시기는 의식적인 구도나 기교의 범위를 넘어 붓가는대로 맡겨도 자연스럽고도 개성적인 예술성이 보이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四君子 가운데 특히 墨竹은 죽농예술을 대표하는 화목이다. 그의 묵죽은 안정적인 구도와 서예성이 두드러지는 기운찬 붓놀림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중국풍을 소화한 뒤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보여줌으로써 근대 한국서단에 독자적인 사군자세계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의 죽화에서 드러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농은 죽화를 그릴 때 고법을 중시하면서도 창신의 문을 여는데 소홀하지 않았다. 처음 죽화를 시작할 때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고전을 곁에 두고 임화하면서 새로운 작품을 모색하였기에 특유의 죽화를 표현해내었다. 둘째, 죽화의 표현에 있어, 형태보다 내면적인 표현을 중시했다. 다시 말하면 그는 “神似”를 제일 앞에 놓고 “形似”를 그 다음 위치에 놓았던 것이다. 셋째, 죽농은 서화일치론을 염두에 두고 작품창작에 임하였다. 用筆에서는 서예적인 필법을 구사하였으며, 用墨에서는 먹의 농담을 조화롭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넷째, 구도적인 면에서는, 전통법식을 철저하게 소화하였고, 전통적인 죽화구성에서 한걸음 나아가 현대적인 미의식을 가미한 다양한 형태의 구도를 시험하거나 여백을 극대화한 독특한 구성을 하여 意境을 확장시키고 있다. 그는 죽화 외에도 사군자 전영역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와 같이 여러 영역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예술적 성취를 일궈낸 죽농을 두고 “無所不至의 서화기법을 지닌 서화가”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군자의 대가로 알려진 죽농의 예술세계는 사군자를 중심으로 書藝, 山水, 人物, 器皿, 折枝, 花卉, 翎毛에 이르기까지 동양회화의 전 분야를 표현해 낼 수 있는 무소부지의 작가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죽농의 예술세계는 전통적 법식에 의한 철저한 수련을 거친 후 자신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으며, 특히 묵죽화로 근대 서예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고 할 수 있다. 죽농의 생애는 70여년에 불과하지만 스스로 대나무가 되어 자신의 작품 속에 예술혼을 불어넣은 그는 근대서단을 대표하는 묵죽화가로 자리매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Juknong Su, Tongkyun(1902-1 978) was a writer active in the era of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 National Art Exhibition, specialized in Sagunja, and especially representing Daegu with his bamboo painting in the field of modern calligraphy. Generally his works are divided historically into the juvenescent and mature age under the pen name of Juknong(竹農) and the latter half year, Juknong(竹儂). The former is the period that shows an enthusiastic brush motion and the margin of incompletion, while the latter is the period that shows a natural and original artistry beyond conscious composition or technique. Especially Mukjuk out of Sagunja is the category of painting that represents the arts of Juknong. His mukjuk is characterized by the dynamic brush motion remarkable with the stable composition and the nature of calligraphy. After apprehending the Chinese style, he made his own style of painting and opened an original world of Sagunja in the modern Korean circle of calligraphy. This stud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bamboo painting as follows ; First, Juknong never neglected creating a new style, though valued much of the old style in drawing a bamboo painting. He could create his own bamboo painting as he groped for a new work making copies of classics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of bamboo painting until his later years. Second, he layed stress on the internal expression rather than the form. Third, Juknong worked having the theory of harmony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mind. For the brush, he used the calligraphical stroke of brush and for the Chinese ink, he tried to express the tints of the ink harmonically. Lastly, for the composition, he had a thorough grasp of the traditional usage. Advanced a step further, he expanded the stage of meaning by trying various forms of composition adding modern sense of beauty to it or a unique composition that maximizes the margin. He acquired a remarkable result in the field of all sorts of Sagunja as well as in the field of bamboo painting. Juknong acquired an artistic accomplishment by the level higher than average in the various fields, so he is evaluated and called "a painter and calligrapher having omniscientific technique". Generally Juknong is known as a master of Sagunja. He must, however, be evaluated as an omniscientific writer able to express the entire field of oriental paintings from Sagunja to calligraphy, landscape, character, tableware, branch and flower. In conclusion, Juknong went through a thorough disciplin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form to build up his own world of arts and left his footprints on the modern history of calligraphy with his Chinese ink bamboo painting. Though the lifetime of Juknong was only 70 years, he made himself a bamboo to inspire the spirit of art into his own work. Juknong will be evaluated as the Chinese ink bamboo painter representing the modern circle of calligraphy.

목차

Ⅰ. 緖論
Ⅱ. 죽농의 생애와 예술활동
Ⅲ. 시대적 배경
Ⅳ. 죽농 묵죽화의 특징
Ⅴ. 結 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수(Jung, Tae-Soo). (2007).竹儂 徐東均의 묵죽화 연구. 서예학연구, (10), 178-205

MLA

정태수(Jung, Tae-Soo). "竹儂 徐東均의 묵죽화 연구." 서예학연구, .10(2007): 178-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