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五臺山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書藝學的 小考

이용수 196

영문명
Calligraphic Consideration of『Mt. Odae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장용남(Jang, yong-nam)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0호, 110~130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류의 문화는 문자와 더불어 발전해 왔고, 위대한 문화를 창조해 왔던 민족, 국가는 그 나름대로의 고유문자를 가지고 있다. 문자는 그 민족 그 나라의 문화와 삶을 기록하고 보존하고 후대에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과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그 나라의 사회 조직을 결속시키고 질서를 유지하는 등 문화를 總合하는 대표적인 상징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는 실용적 수단과 역할 중심으로 창제되었으나 점차 문화가 발전하면서 예술화되어 갔다. 우리나라 한글은 민족적 자주와 기회 균등, 실용 과학의 이념아래 『훈민정음』으로 창제되었으나 실제 민중생활에는 그다지 실용화되지 못했고 『동국정운』, 『용비어천가』 등의 간행이나 불경 언해 등의 언해 사업에 주로 이용되어왔다. 세조10년 (1464)에 서사된『오대산 상원사 중창권선문』은 「권선문」과 「어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붉은색 비단 표장으로 된 접본의 책으로 합책의 크기는 세로30cm×가로846cm 로 국보 292호이다. 훈민정음 제정이후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으로 당시의 실용언어가 반영되어 있고 왕족이나 신하 승려 등 다수의 인물이 나타나며 이들의 수결과 여러 가지 物目이 기록되어 있어 서체연구는 물론 어문학 및 당시의 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치가 높은 귀중한 자료이다. 『상원사 중창권선문』은 기하학적인 한글고체의 형태에서 필사체로의 전변과 음운체계에서 조형체계로의 전환 즉 창제 때의 한글고체에서 과도기를 거치며 하나는 한자 筆意로 자유롭게 쓴 서간체의 형태로 다른 하나는 음운구조가 갖는 문자로서의 고유성을 살려나가는 궁체로의 전변이며 바로 그 정점에 『상원사 중창권선문』이 있다. 『상원사 중창권선문』의 특징은 첫째 훈민정음이 반포된 이후 가장 오래된 한글필사자료라는 점. 둘째 언해부분에는 傍點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의 어휘․문법 및 서체 등의 연구 자료가 된다는 점. 셋째 부왕인 세종으로부터 물려받은 세조의 돈독한 불심과 信眉, 學悅, 學祖등 당대의 고승들의 정치행적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자료라는 점이다. 본 考에서는 「권선문」과 「어첩」에 대한 字體분석을 통해 조맹부의 松雪體가 15세기 조선전반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다수의 중앙 및 지방 관리들의 직함과 개성적인 수결을 통해 당시에 서사된 文字審美意識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언해문에 나타난 자모음의 구조와 합자의 형태를 통해 한글서체의 변천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글서체의 변화양상을 조명해 봄으로써 이 시대 한글서예의 새로운 서체미감을 담아내고 創新의 세계를 모색하기 위한 原形性의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ulture of human beings has developedalong with character, and a nation and its people that have created a great culture have its unique characters. Characters play a pivotal role in recording, preserving theirculture and life and passing them on to the next generation. There characters had been created, focusing on their practical means and role, but they became artistic along with a developed culture. 『Mt. Odae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transcribed in King Sejo's 10th year (1464), are made up of「Kwonson Writing」and「Uhcheop」and it wa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292. It is covered with red silk and the books are 30cm in length and 846cm in width. It's the oldest transcription since the creation of the Korean script, and reflects the practical language used at the time. It also includes various figures such as royal families, subjects and Buddhist monks, and records their signatures and several lists of articles. So it is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help study handwriting, literature and culture at the time.『Mt. Odae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underwent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Korean geometric archaic-style characters to transcription letters and from a phonological system to formative one. The one is an epistolary style that freely writesChinese characters and the other shows a shift into a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hat makes the most of the uniqueness of letters, and『Mt. Odae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is at its height. 『Mt. Odae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has thee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oldest transcription material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Korean script. Second, there are side dots in Korean translationof Chinese classics and it provides research material in terms of glossary, grammar and handwriting. Third, it is a valuable material to study the King Sejo's mercy of Buddha inherited from his father King Sejong, and the political achievements of high priests living at the time such as Shinmi, Hakyeol and Hakjo. This study examined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characters at the time by looking at theircharacteristic signatures and official titles of central and local officials, and the effects of Cho Maeng-bu's 'Songseul style' on Chosu dynasty of 15th century by analyzing character style of 「Kwonson Writing」and「Uhcheop」. In addition, it looked at the influences of the structures of consonants vowels as well as the types of ligature shown in 'Uhnhae'writings on the developments of Korean handwritings. It also searched for the prototype to find the worldof new creation, and showed new esthetic sense of Korean calligraphy by looking at the changing pattern of Korean handwriting.

목차

Ⅰ. 緖論
Ⅱ.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槪況
Ⅲ.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書體審美的 特性
Ⅳ.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한글書體 分析
Ⅴ. 結 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용남(Jang, yong-nam). (2007).『五臺山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書藝學的 小考. 서예학연구, (10), 110-130

MLA

장용남(Jang, yong-nam). "『五臺山 上院寺 重創勸善文』의 書藝學的 小考." 서예학연구, .10(2007): 110-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