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統一新羅 石碑樣式에 관한 硏究

이용수 362

영문명
The Study on a Form of a Stone Monument of Unified Shilla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朴文鉉(Park, Moon-Hyu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0호, 7~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 統一新羅時代 석비양식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고자 하였다. Ⅱ章에서는 石碑의 由來와 形式, 種類를 중심으로 언급하였다. 碑에 대해서 『禮記』․『儀禮』․『釋名』등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碑는 제사 때 희생을 묶던 기둥, 해시계로 사용하던 기둥, 하관용 기둥에서 유래되었으며, 功績을 새겨 기록하는 碑 槪念과는 차이가 있다. 다만, <石鼓文>이나 秦代 刻石 등이 당시에 碑라는 용어를 쓰지는 않았지만 功績이나 기념될 내용을 돌에 새겨 전하였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개념상 碑의 嚆矢로 보아도 무방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碑의 形式과 種類에서는 石碑의 명칭이 외형적 양식과 규모에 따른 호칭보다는 立碑 장소나 비문 내용, 특히 碑額이나 碑題에 나타나는 명칭을 중심으로 호칭되며 그 종류를 구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Ⅲ章에서는 石碑樣式의 變遷過程에서 삼국통일 이전에는 자연석 표면을 다듬지 않고 立石한 예가 많았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書風이 자연스럽고 고졸함이 나타났다. 그리고 <眞興王巡狩碑>에서는 方趺蓋石의 석비양식을 살필 수 있는데, 統一期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변화를 보여 龜趺와 螭首를 갖춘 唐碑樣式이 출현한다. 이후 통일신라후기까지 다수의 석비가 출현하는데 唐碑양식을 수용하였지만 더욱 장식화되었고 화려한 면모로 일정한 양식을 완성하며 새로운 전형을 창출하여 신라화된 석비양식으로 자리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Ⅳ章에서는 石碑樣式에 나타난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統一新羅 石碑는 시대를 대표하는 藝術品으로 우수한 석비가 다수 출현하였으며, 新羅人의 美意識이 담겨있는 독특하고 개성있는 새로운 양식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당비양식의 출현은 새로운 분야의 확장이라는 큰 의의가 있다. 또한 각각의 석비양식은 개성을 유감없이 나타낸 역작들로 신라 석비양식의 과감한 변화를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석비양식과 변화에 관하여 고찰하려 하였지만 아직 미흡함을 많이 느낀다. 따라서 앞으로 관련 資料를 발굴 조사하여 신라 석비가 韓國 書藝史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하고 정리해내는 작업을 課題로 삼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changing process of a form of a stone monument centering on a stone mounment in unified Shilla era was looked into and in addition, the discussion was proceeded aiming at a style of writing of letters engraved on tombstone in this era. In chapter Ⅱ, the origin, form and type of a stone monument referred to. A monument was originated from a column for binding a prey as performing a religious service, a column used as a sundial, a column used for lowering a coffin into a grave and there was a difference with the concept of a monument engraved for recording achievements. But a term of a monument was not used in and engraved stone in Jin era and so on at that time and yet regarding it as the first of a monument would do no you harm because achievements and commemorative contents were transmitted by engraving them on a stone. And in a form and kinds of a monument, a tombstone was called by the location of raising monument, the contents of an epitaph, especially centering on letters engraved on a tombstone or a name shown on the title of a monument rather than a name by an external shape and scale and the kinds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 chapter Ⅲ, in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style of a stone monument,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y erected a stone without facing the surface of a native rock befor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tates and a style of writing was natural and had antique beauty by this. And Bang Boo Gae Seok, a type of a stone monument, can be seen in < Jin Heong Wang Soon Soo Bee > and Dang's style of monument that had the turtle base of a stone and the head of dragon monument appeared by a sudden change since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period. The earliest instance is that is rated as a masterpiece that has an excellent ornament and carving and formative beauty is properly harmonized with artistry. Since then till the late period of unified Shilla, a number of stone monuments appeared and they accepted the style of a monument of Dang but were more decorated and could be evaluated as taking their position as Shilla's own style of a stone monument by completing specific style with brilliant features and creating new pattern. In chapter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that were Ⅳ indicated in the style of stone monuments and handwriting of letters engraved on tombstones were looked into. A stone monument in unified Shilla was a representative work of art and many excellent stone monuments appeared and completed new style that was unique and idiomatic with thoughts of beauty of people of Shilla. And the appearance of letters engraved on a tombstone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ed a new field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Besides, each letter on tombstones were great works that showed idiomatic handwriting most satisfactorily and indicated the trend and level of seal characters of Shilla.

목차

Ⅰ. 緖論
Ⅱ. 石碑의 槪觀
Ⅲ. 統一新羅時代 石碑樣式의 變遷
Ⅳ. 統一新羅時代 石碑의 特徵과 意義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文鉉(Park, Moon-Hyun). (2007).統一新羅 石碑樣式에 관한 硏究. 서예학연구, (10), 7-31

MLA

朴文鉉(Park, Moon-Hyun). "統一新羅 石碑樣式에 관한 硏究." 서예학연구, .10(2007): 7-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