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서사극의 현실반영성 연구

이용수 697

영문명
A Study on Reflexion of Reality in 1980’ s Epic Drama -Concentrating on Lee Kang Back, Lee Hyun Hwa, Hwang Suk Young-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조정희(Cho, jung-h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1권 제1호, 145~18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희곡의 현대성은 1960년대를 중심으로 그 양상이 크게 달라진다. 계속 변화하는 시대가 예술에 대해서도 새로운 요구를 하고 있었고 그것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재현양식도 변해야 했다. 시대적 상황과 그 사회 현실에 알맞은 연극이 생산되어야한다는 것은 이 시기 극작가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였다. 1960년대 이근삼을 필두로 시작된 새로운 연극의 창작은 그 중심에 서사극 이론이 자리 잡고 있다. 서사극은 당시 변화된 시대상과 연극 양식을 수용하기에 알맞은 방법으로 많은 극작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서사극은 불합리하고 위협적인 세계에 살고 있는 인간의 실존적 문제와 사회의 모순 부조리를 위트 있게 그려낸다. 관객들은 이러한 모순과 부조리에 웃음으로 반응함으로서 현재의 문제를 인식하고 공감한다. 서사극에 영향을 받은 현대 연극은 단지 보는 연극에서 그치지 않고 그 감흥을 자신의 의식으로 끌어들여와 숨겨진 도덕적 사회적 문제를 재인식하게끔 한다. 그러나 반공이 국시였던 1960 년대는 현실에 대한 비판을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었기 때문에 극작가들은 서사극의 이념적 성격을 그대로 수용하기 보다는 형식적 측면만 수용하였다. 그리고 서시극의 수용과 창작은 굴절과 변이의 과정을 거쳐 1970년대를 지나 1980년대에 이르러 ‘한국적인 서사극’으로 변용된다. 1980년대 활발한 활동을 한 이강백 이현화 황석영은 이러한 서사극적 이념에 동의하면서 한국적 상황과 현실에 소홀하지 않았다. 이강백은 70년대의 비유극에서 출발하여 80 년대 복잡한 시대상황과 사건에 대해 현실적 소재를 선택하여 서사극적 역량을 보여 주었다 이현화는 70년대 작품에서 보여준 개인의 실존문제와 은닉된 권력과 폭력성에서 벗어나 진실된 역사의 자리매김 사회개혁의 의지가 표현된 서사극으로 80 년대 사회상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황석영은 1970년대 중반 이 후 「장길산」의 연재를 제외하고 희곡만 집필한 것을 상기해 본다면 그의 관심은 역사적 혼란기 속에 숨겨진 진실된 우리의 모습이었다. 그는 시대적 모순을 알리고 분단시대의 상황과 비극을 알리기 위해 서사극적 기법을 수용하여 관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하였다. 서사극은 서구의 연극 이론이지만 한국의 현실에 알맞게 변용되어 재현되었다. 서사극은 현대연극에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그러므로 서시극의 이념성을 온전히 수용한 1980년대 희곡을 통해서 현대극이 갖는 의미를 밝힘으로써 일단의 연극적 경향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1960s, Korea society have experienced not only a Modernization but also a Variation in various field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etc. Likewise Drama is required new style to adapt to period change is showed a different features of Realism in past generations. Like this, modernism of Drama is a reformed the aspect from a reference point in 1960s.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resolved. a new Drama creation in external element. This prepare for escape opportunity from the closing as stimulate to work field frank with the Epic Drama and absurdity Drama of the Western style. The creation of new style of play is Epic Drama theory which start with Lee keun-sam. Epic Drama theory is firm of innovation purpose of socialism for society organization due to take a criticism by practical behavior. Like this, Epic Drama of Brecht is accepted of theory of Frisch, Durrenmatt accede to theory of Brecht due to the political doctrine. Finally, Korea play is influenced by Brecht, is accepted of an analysis for play than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point of view of Epic Drama. However, Epic Drama have an effect on the many dramatist of our changing phases of the times of the proper way to accept a style of play 1T0m 1960s Epic Drama, in a different way realism, clarify a social contradiction, irregularities and existential issues. A spectator feel sympathy for current situation exactly as against social contradiction, irregularities. They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hidden social and moral issues, which not only watching the play but also self-consciousness. However, korean Epic Drama is displayed in the different aspect, Drama of the Western style, as accepted of the Epic Dramatic ideology. This is, a spectator feel sympathy for a player which present a drama as listen to the appealing inside voice. Because of their true picture of reality is similar to the picture of that player, they cannot neglect despair. Furthermore, korean Epic Drama is important purpose of social reform than our life in the present. These attitude of mind make a korean Epic Drama as accept theory of Epic Drama. Therefore, the paper presents Epic Drama reappear in different Drama of the Western style: nevertheless Epic Drama contribute development of the korea modern drama. The paper presents Lee Kang-Back, Lee Hyun-hwa, Hwang Suk-Young pursue simultaneity ofDrama feel sympathy for reality of the 1980s. Social issue and reality is writing material at that time use a techniques of Epic Drama. They want to arouse sympathy through an our image for time for living at day's. Like Epic Drama of Brecht, they focus on our image for live in comfortable circumstances. Similarity, it is be expressed a same point of view at construction of a sentence: a pain in a petit bourgeois use a narrator, the same sense of continuity between past and present which dramatize a events of history: with a song of anger and hopelessness Through a Drama, they confirmed our life as show the present conditions dramatically. The character of Korea Epic Drama is expressed in different Epic Drama of Brecht their point of view revealed with contemporary writers in 1980s.

목차

Ⅰ.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Ⅱ. 서사극의 이론과 수용 과정
Ⅲ. 1980년대 희곡에 나타난 서사극의 특정
Ⅳ. 결론
참고문헌
영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희(Cho, jung-hee). (2010).1980년대 서사극의 현실반영성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1 (1), 145-183

MLA

조정희(Cho, jung-hee). "1980년대 서사극의 현실반영성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1.1(2010): 145-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