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0년 전후 외도 모티프 소설 연구

이용수 226

영문명
The Study on Adultery Motif of 2000years Novels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오영이(Young Yi Oh)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1권 제1호, 119~14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이혼의 중대사유가 되고 있는 외도에 관한 고찰을 시도했다. 이혼율이 한창 급증되던 시기인 2000년을 전후하여 발표된 세 편의 소설을 중심으로, 외도에 이르게 되는 동기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주도적인 외도의 측면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외도로 인한 이혼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방법론으로는, 프랭크 피트먼의 ‘외도의 유형분류’를 차용해 텍스트에 등장하는 외도 유형을 분류하여 보았다. 그리고 앤소니 기든스가 주장하는 사랑의 단계에 대한 개념(열정적 사랑, 낭만적 사랑, 합류적 사랑 등의 구분)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인물이 추구하는 사랑의 지향성을 파악해 보았다. 외도는 어디까지나 제도 밖의 관계이고 허용되지 못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제도로 관계를 보장받느냐 아니냐 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으로 얼마나 교감하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갈수록 친밀성에 의존하는 현대사회의 애정관과 이를 바탕으로 한 외도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 tried to study adultery that caused the divorc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adultery motif of the novels based on the three novels that were published in 2000 years, the divorce rate was the highest year. I especially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strong woman-led side because the statistics office’s document showed that the divorce rate was increased by the women’s adultery Methodically, I adapted the text Frank Peterman’s ’The classification of the adultery types' to the motif of the adultery. After classifying three adultery types appeared on each text, I studied Anthony Giddens’s the conception of the love (passionate love, romantic love, consensual love etc.) and looked into the pursuit of personalities of the novels As we examined the adultery motif, it is that the adultery is out of the system and inacceptable in the society. That is why the ending of the works couldn’t defend the adultery. However it can’t be denied that the adultery is the one way of the recovery from the modern man’s solitude and alienation. The matter is not we can ensure the relationship as the system but how much w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motionally.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we should study the affection relationship of the modern society depending on the familiarity.

목차

Ⅰ. 서론
Ⅱ. 현대의 애정관과 외도의 유형
Ⅲ. 소설에 나타난 외도 모티프
Ⅳ. 소설에 나타난 외도 모티프의 시대적의의
V. 결론
참고문헌
영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영이(Young Yi Oh). (2010).2000년 전후 외도 모티프 소설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1 (1), 119-143

MLA

오영이(Young Yi Oh). "2000년 전후 외도 모티프 소설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1.1(2010): 119-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