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이용수 325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ry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金呂珠(Kim Yeo ju)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집, 111~14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의 문인들은 京華士族이라는 명칭 아래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데, 그 특징은 서울을 주된 생활공간으로 하면서 地城的·黨派的·身分的 紐帯關係를 기반으로 하여 政 治的 活動·詩社活動에서 그룹적 성격을 지닌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다. 서울의 도시적 발달과 생산성 향상은 삶의 방식에도 변화를 일으켜 사대부나 中庶계층의 심미적 취향이 확산되었다. 정치적으로 볼 때 조선후기는 탕평책 실시로 안정을 이룬 듯 보이면서도 노론의 湖洛분열과 남인의 淸濁대립에 時僻의 대립이 더하여 각 분파간의 정치적, 문화적 활동은 서로 대립적인 양상을 띠었고, 그러면서도 당색과 학파를 뛰어넘는 개방적인 집단 문화활동이 전개된다. 이러한 분위기는 女性作家들에게도 예외일 수 없어서 18,9세기에 이르러서는 女性作家들의 문학활동도 보다 활발해지면서 집단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時期 女性作家들의 문학활동이 남성들의 활동상황 내에 정식으로 편입되어 한 부분을 차지하였던 것 같지는 않으나, 여성의 문학활동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여전히 곱지 않았던 상황에서 여성작가들과의 詩社 活動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에 경화사족들이 서울 도성과 근교에서 시사 활동을 전개하였던 상황을 개략적으로 확인하면서, 이 시기의 여성작가들이 시사활동 등을 펼칠 수 있었던 서울의 도시적 분위기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강변 五江樓·一碧亭을 시작으로 용산 三湖亭에서 본격적으로 詩會를 가지면서 詩作活動을 전개하였던 妓女出身으로 淵泉 金履陽의 小室이었던 金雲楚와 奎堂學士 金德熙의 小室로서 금강산 遊覽 紀行을 詩文으로 남긴 金錦園, 그리고 朴完彦의 庶女로 松湖 徐箕輔의 副室이었던 朴行西의 詩·文 作品 硏究를 통해 활동 상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조선 사대부 사회의 모범이라 할 만한 士大夫家 女性 徐令壽閤의 詩文學 硏究를 보충하여 朝鮮俊期 女性文學의 활발하고 다양했던 활동상황과 그 文學的 特徵을 總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18,9세기 다양하고 활발하였던 韓國漢文學史上에 있어서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의의를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iterary men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en show an aspect different from before, under the name of Gyeonghwasajok (scholars based on Seoul), and its characteristic is a thing to form a group with a group nature in political activity and Sisa (Meeting of poetry coterie) activity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factious and social-standing relation, while making Seoul of a major living space. Seoul's urban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did bring about a change even in a way of life, thus the aesthetic fondness of Sadaebu or middle-class bracket was spreaded. Given seeing politically, while the latter period of Choweon seems to attain stability due to execution of Tangpyeongchaek, because of adding the Sibyeok's opposition to the Horak (a different theory of personality nature) disruption and Namin's confrontation of purity and impurity, the politic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each branch did display mutually ambivalent aspect, at the same time the open group cultural activity beyond the party color and a doctrinal faction is unrolled. This atmosphere can not be exception even to female writers, and reaching the 18C and 19C, female writers' literary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seem not to have been included formally in men's activity circumstances and not to have possessed one portion, but under a situation that a social sight as to women's literary activity is not still favorable, female writers' Sisa activity can be said to have the large significance itself. Accordingly, while confirming roughly the circumstances which Gyeonghwa-sajok had unrolled Sisa activity in the capital city and around Seoul, ti did examine the urban atmosphere of Seoul where female writers during this period could spread the Sisa activities. In particular, it did consider the activity circumstances through a study on poetry and literature works of Kom Un cho who was Yeoncheon Kim I yang's concubine, as being from a Ginyeo who had developed a versification activity while having had a poetry association in earnest at Samhojeong(三湖亭) in Youngsan, starting from Ogangru(五江樓) and Ilbyeokjeong(一碧亭) on the riverside of Hangang river, Kim Keum won who did leave a traveler's sightseeing journal with poetry and prose, as a concubine of Kim Deok hi who is Grudanghaksa, and Park Jook seo who was a concubine of Songho Seo Gi bo, as an illegitimate daughter of Park Jong eon. Also, it did sum up the activity circumstances of female literature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Which were active and diversified, and its literary characteristic, by supplementing a study on poetry and literature of Seo yeongsuhap who is a woman of Sadaebu family enough to be said as an example of Choseon Sadaebu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for female literature in terms of Korean Chinese-literatures ideology which was diverse and active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목차

Ⅰ. 緖論
Ⅱ. 本論: 朝鮮俊期(18,9세기) 文人들의 動向
Ⅲ. 朝鮮俊期 女性作家의 作品活動 狀況
Ⅳ. 結論: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意義
參考文獻
英文抄錄
Key word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呂珠(Kim Yeo ju). (2004).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교육연구, 38 , 111-141

MLA

金呂珠(Kim Yeo ju). "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교육연구, 38.(2004): 11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