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이용수 242

영문명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Dualistic Conception of 'practice'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유재봉(Jae-Bong Yoo)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4집,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교육에서 흔히 실제 혹은 실천의 개념을 이론에 대비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이원론을 사회적 실제의 관점에서 옳지 않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론'과 반대되고 분리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혹은 '실천'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그리스 맥락에서의 프락시스, 라일과 비트겐쉬타인과 같은 현대 철학자들의 실제에 관한 논의, 그리고 교육적 관점에서의 이론과 실천간의 역동성에 비추어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ion of 'practice' is often understood as 'everything that is not 'theory'' without any doubt. Is this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correct?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the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Greek notion of 'praxis'. Ryle's 'knowing how' and Wittgenstein's 'language-games', and is also not appropriat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My min arguments for thi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a conventional usage of 'practice' is mistaken in the light of the Greek notion of praxis. The notion of praxis makes sense in relation to poiesis('making' or 'producing') rather than theoria('theory'). Two ways of live, I.e. theoretical life and practical life also should he understood as a way of two different forms of socially embedded human activities rather than a dualistic distinction. Secondly, for Ryle and Wittgenstein, all human activities, whether 'knowing that' or 'knowing how', or 'language-games', are basically regarded as 'practices'. For Ryle, 'knowing how' is logically prior to 'knowing that' and thus practice is not a step-child of theory, but rather theory cannot be fully understood without participating in practices to which someone belongs. For Wittgenstein, language-games are fundamentally social practices that relate to bringing about some actions and doings through engaging in the activity rather than simply linguistic utterances or statements. Lastl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trict dichotom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may not plausible in that it tends to overlook the nature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role of practitioners who engage in them and, further, the dynamics among practitioners, practice and theory. Given these grounds, I would suggest that the conception of practice can be fully, and adequately, understood in terms of social practices in which people engage.

목차

Ⅰ. 서론
Ⅱ. 그리스 맥락에서의 실제
Ⅲ. 라일과 비트겐쉬타인에서의 실제
Ⅳ. 교육적 맥락에서의 실제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재봉(Jae-Bong Yoo). (2000).이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교육연구, 34 , 1-22

MLA

유재봉(Jae-Bong Yoo). "이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실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교육연구, 34.(2000):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