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이폰 초기사용자 동행관찰을 통한 스마트폰 이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979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s of Behavior Patterns in Smartphone Users by Shadowing Early iPhone User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고윤전(Koh, Yoon Jeon) 이형일(Lee, Hyung-Il)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8권 제1호, 111~12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대명사라 불리는 아이폰의 국내출시를 계기로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 달리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국내 스마트폰 고객의 이용행태 및 변화에 대한 심층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 스마트폰 이용행태 및 그 변화의 원인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실질적인 국내 아이폰 초기사용자들-개인전파인증을 통해 아이폰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을 동행관찰 하는 정량적인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른 향후 연구들의 선행적 연구로서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폰 고객의 이용행태 및 성향, 그로 인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그 본질적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아이폰 초기사용자들은 가벼운 음악감상, 트위터와 이메일/일정 확인, 편리하면서도 함께 즐기고 과시할 수 있는 사진첩과 LBS(Location Base Service) 기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아이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의 변화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IT/미디어 활용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IT 산업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분야에서 최초로 정성적 방법을
활용해 수행한 선행적 연구로서의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behavioral changes of smartphone users in Korea by shadowing early iPhone users. With the iPhone launch in Korea last November, the public attention on the smartphone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However, few studies has focused on exploring and analyzing the user behaviors of the smartphone and its impacts on lifestyle as well as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nvironments. This study, therefore, employed the qualitative method, shadowing the early iPhone users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behavioral patterns of smartphone users and the factors explaining its changes. As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factors explaining the changes of smartphone users' behaviors and lifestyle caused by iPhone. Results indicate that iPhone users prefer listening the music, checking Twitter, email and schedule, taking pictures, and using LBS(Location Base Service). The changes in smartphone users' behaviors have impacts on individuals' lifestyle, the use of IT service and media, and IT industry. With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 of the shadow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배경 및 조사방법
III. 조사/분석 결과
I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매점 자산이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수용의도: 대안적 모형의 검증
- 지역이미지 통합과 축제 활성화를 위한 인천시 부평로의 사인시스템 디자인개발
- 의료관광 상품의 구성속성 도출과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주 브랜드의 전형성이 브랜드 제휴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휴대폰의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김치의 대일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아이폰 초기사용자 동행관찰을 통한 스마트폰 이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신제품 속성의 불일치성과 메시지 주장이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관계 질
- 경영이념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The Moderating Effect of Past Visit Experience on Festival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