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탈진과 팀 탈진에 대한 상동모형(homology model) 고찰

이용수 491

영문명
The Investigation of a Homology Model to Job Burnout and Team Burnout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최재무(Jae Moo Choi) 한태영(Tae Young Han)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7권 제4호, 1~4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팀제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탈진 현상을 다수준 접근법에 입각하여 검증하였다. 개인의 직무탈진을 다수준 관점에서 밝히기 위해서, 개인 수준의 스트레스원(源)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면서, 동시에 팀 수준에서 이론적 유사성을 가진 관계를 밝히기 위한 상동모형(homology model)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상동모형을 바탕으로 팀제 조직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직무탈진 현상을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인과 팀 수준의 스트레스 요인들(팀업무 조정, 조직의 팀지원)이 각 수준의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들과, 팀 냉소주의와 팀 효능감 저하로 정의한 팀 탈진이 팀 수준의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탈진 사이에서 교차수준 매개효과(cross-level moderation effects)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다양한 조직의 47개 팀에서 21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수준 방법론 (즉, 위계선형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 수준에서 작업 과부하와 팀 리더 지원이 직무탈진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고, 팀업무 조정과 개인의 직무탈진의 관계에 대한 팀 탈진의 교차수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조직의 팀지원과 개인의 직무탈진의 관계를 팀 탈진이 매개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팀제 조직에서 나타나는 직무탈진 현상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팀 구성원의 직무탈진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과 미래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burnout of team members in organizations. Due to global competition and economic recession,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perceive more pressure from their work conditions. Organizations need to recognize the negativ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ir employees to achieve effectiveness even with the tough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o stress at individual level, members in teams may experience the negative psychology in common given the fact that more organizations assign a collective set of responsibility to members in team organization system. Thus, this study suggested a multilevel homologous model of job burnout in which the nature of job burnout at individual level shares some similarity in conceptual structure with its counterpart at team level. Based on the theoretical similarity of the burnout constructs, team burnout was conceptualized as high team cynicism and reduced team efficacy. This construct is consistent to the individual job burnout that is consists of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and reduced self-efficacy. The homologous model in this study assumes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of team-level burnout with job burnout at individual level. This assumption indicates that the variability in terms of stress level among team members not only comes from individuals’ work conditions but also is associated with team-level burnout that is shared among team members. To test the functional relationship,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established. H1 : Team burnout will have top-down relationship with job burnout. To explore the functional similarity between team burnout and job burnou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sources (i.e., stressors) of the two types of burnout, respectively. Thus, in addition to the top-down effect of team burnout to individual job burnout, this study examined stressors-burnout relationships at both levels. The relationships at individual level are based on previous arguments that workload functions as job pressure and team leader support functions

목차

국문초록
Ⅰ.서론
Ⅱ.본론
Ⅲ.실증분석
Ⅳ.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무(Jae Moo Choi),한태영(Tae Young Han). (2009).직무탈진과 팀 탈진에 대한 상동모형(homology model) 고찰. 인사조직연구, 17 (4), 1-45

MLA

최재무(Jae Moo Choi),한태영(Tae Young Han). "직무탈진과 팀 탈진에 대한 상동모형(homology model) 고찰." 인사조직연구, 17.4(2009): 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