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건설산업의 고용구조와 고용유발효과 변화추이 분석

이용수 153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Employment and Employment-Induced Effects for Promoting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y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박재운(Jae-Un Park) 이대식(Dae-Shik Lee)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8卷 第1號, 159~18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 부속 고용표를 이용한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한국 건설산업의 고용구조 및 최종수요 항목별(최종수요, 소비, 투자, 수출)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최종수요에 의한 건설산업의 고용유발계수가 2007년 17.8명으로 2000년의 17.1명에 비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건설산업의 경우 투자수요에 의한 고용유발인원 및 의존도가 압도적이며, 산업자체의 직접고용유발인원 및 의존도 (94.4%)가 여타산업 대비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도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건설산업의 고용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 건설산업의 경우 1995년 이래로 고용유발계수가 현상유지를 하고 있고 간접고용유발효과가 낮은 점을 고려하면 건설서비스의 다양화 고급화를 통해 건설산업의 활성화 및 고용창출 능력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단순한 건축 및 건설부문의 양적 투입증대보다는 전방연관산업과 연계해 차별화시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문화컨설팅, 자산관리서비스, 고품격 임대서비스, 관광상품과 연계한 몰링서비스(malling service) 등의 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 또한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nge of employment and main employment-induced effects influencing the growth of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tributing employment-induced effects that has promoted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found in order of the Investment Demand (94.8%), the Export Demand (5.2%) among the final demand factors and so on, in 2007. Second, while the degree of employment contribution of Investment Demand has been increased, and relatively remained stable since 2000. For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required to enlarge the inter-industrial linkages with the other services industries. Therefore, policy proposals that can raise the labor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nstruction services through the forward linkage (i.e., finance and insurance, real estate management, leasing, and malling services, etc) must be made in the near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운(Jae-Un Park),이대식(Dae-Shik Lee). (2010).한국 건설산업의 고용구조와 고용유발효과 변화추이 분석. 주택연구, 18 (1), 159-184

MLA

박재운(Jae-Un Park),이대식(Dae-Shik Lee). "한국 건설산업의 고용구조와 고용유발효과 변화추이 분석." 주택연구, 18.1(2010): 159-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