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就利山遺蹟의 考古學的 檢討

이용수 62

영문명
Results of Investigating Mt. Chuiri Remain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李賢淑(Lee Hyun-Soo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산사와 고대 제6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4.03.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라 회맹지로서의 “就利山”은 역사적 기록을 구체화할 수 있는 유적지로서 주목되는 곳이다. 현재 취리산의 위치비정에 대한 노력에서 유력한 후보지로 집약된 곳은, 공주 금강 북안에 위치한 취리산(치미)과 서북쪽에 위치한 연미산(취미산)이 거론되어 왔다. 이에 그동안 이루어진 취리산과 연미산에 대한 시굴조사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就利山 濟羅會盟과 관련된 기록가운데, 『三國史記』卷6 新羅本紀 第6의 文武王 5年 8月條의 ‘埋牲幣於壇之壬地’와 『三國史記』卷7 新羅本紀 第7의 文武王 11年 7月條의 ‘又於就利山築壇’에서와 같이 구체적으로 築壇의 정황이 파악된다. 회맹의 특성상 壇을 구축하였을 경우, 주로 대상지역의 정상부나 이에 준하는 지역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추정된다. 따라서 회맹지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壇의 존재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입지의 문제도 중요한 검토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취리산(치미)과 연미산(취미산) 모두 제·라 회맹이 있기 이전의 유적이 존재했던 지역이다. 또한 이후에 통일신라시대 토기편이 유입되어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상호 공통점이 간취된다. 그리고 취리산과 연미산 모두 公州에서의 접근성은 양호한 지역이다. 취리산의 경우 당시 지형은 정안천이 서편으로 흘렀기 때문에 신관동 일대와 지형상 연결되는 곳이었으며, 연미산도 곰나루와 직접적으로 마주보는 지역일 뿐만 아니라 연미산 남서쪽에 연결되어 있는 소하천을 통한 접근성이 매우 양호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입지상의 차이점은 연미산(취미산)이 취리산(치미)보다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는 점과, 공주시가지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취리산은 북쪽에 위치하고 연미산은 북서쪽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두 지역의 지형은 저지대의 구릉과 높은 산으로 차별화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會盟과 관련된 壇의 존재가능성을 추정할 경우, 지형특성상 취리산 보다는 연미산의 지형입지가 단을 조성하는데 우월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97년과 2008년에 이루어진 두 조사 모두 유적의 존재 가능성에 대하여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던 시굴조사 이므로, 시굴조사 결과만으로 구체적인 유적의 성격이나 형태를 단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사고로 판단된다. 역사기록을 구체화할 수 있는 유적의 입지에 대한 검토인 만큼, 고고학적 정황과 더불어 역사적 상황에 대한 검토도 함께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취리산회맹지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비정된 취리산(치미)과 연미산(취미산)에 대해서는 확실한 유적의 성격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하여 관련 유구를 확인해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a place for making a league between Baekje and Shilla, “Chiri-san” has been paid attention to by scholars in that it could concretize historical records. As the spots that have been designated as a highly probable place in an effort to the actual location of Chiri-san, there have been two candidates mentioned: Chiri-san(Tsimi) located in the northern coast of Geum-gang(river) in Gongju and Yeonmi-san(Chimi-san)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In this aspect, this study reviewed the summary of trial digging for Chiri-san and Yeonmi-san that has been performed so far. Amo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league-making between Baekje and Shilla in Chiri-san, there were two concrete situations of piling up the altars: one in the phrase ‘An Offering Was Buried in the North of the Altar(埋牲幣於壇之壬地)’ from the August Article during King Munmu(5th year of reign) out of the 6th Shillabongi(History of Shilla: 新羅本紀) of the 6th Volume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and the other in the phrase ‘Also the Altar Was Piled Up and Raised Again on Chiri-san(又於就利 山築壇)’ from the July Article during King Munmu (11th year of reign) out of the 7th Shillabongi of the 7th Volume of 『Samguksagi』.’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gue-making, it has been assumed that piling up the altars would be held mainly in the summit regions or their equivalent spots of the given areas. Therefore,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issue of location that could figure out the possible existence of altars in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league-making place has been a crucial factor of investigation. In both Chiri-san(Tsimi) and Yeonmi-san(Chimi), there had been remains prior to the event of making a league between them. Beside, their common features have been noticed in that both of them were the places where the fragments of pottery from the Unified Shilla period were introduced later. Furthermore, both of these mountains were easily approachable from Gongju.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f the time, Chiri-san was connected with Shingwan-dong areas due to the fact that Jeongan-cheon(stream) flew westward, whereas Yeonmi-san not only directly faced Gom-naru(ferry point), but also had a favorable accessibility from Soha-cheon(stream) linked to the southwestern Yeonmi-san.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ir location were that Yeonmi-san(Chimi) was positioned higher than Chiri-san(Tsimi) and the former was located in the northwest while the latter in the north from the perspective of Gongju area. The topography of these two area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lowland hills and high mountains. In case that the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altars related to their league-making as mentioned above,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topographical location of Yeonmi-san was superior to that of Chiri-san in terms of making up the altars. However, those held both in 1997 and in 2008 were trial diggings through which scholar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onditions of the possible existence of remains; therefore, it has been regarded unlikely to confirm the concrete nature or forms of the remains only with trial diggings.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examination for historical situations as well as archaeological contexts should be done because it was an investigation for the location of the remains that could concretize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for Chiri-san(Tsimi) and Yeonmi-san(Chimi) highly probable to be designated as a Chiri-san league-making place, there should be further efforts to check the pertinent remains through accurate excavation for figuring out their precis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就利山 濟․羅 會盟址의 位置比定 現況
Ⅲ. 就利山遺蹟의 考古學的 檢討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賢淑(Lee Hyun-Sook). (1994).就利山遺蹟의 考古學的 檢討. 선사와 고대, (6), 5-32

MLA

李賢淑(Lee Hyun-Sook). "就利山遺蹟의 考古學的 檢討." 선사와 고대, .6(1994):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