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해석학의 새 지평으로서 도상(圖像)해석학의가능성 탐색

이용수 207

영문명
Ikonographie und Ikonologie als neue Dimensionen pädagogischer Hermeneutik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손승남(Son, Seung-Nam)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2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해석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도상해석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논의의 근간이 되는 교육해석학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해를 토대로 해석의 대상을 문자(Schrift)에서 그림(Bild)으로 확대하여 새로운 해석 규칙과 방법을 찾아보고 이를 실제로 교육관련 작품들을 해석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그림으로의 전환(pictural turn)’ 이후 미술사 영역에서 도상해석학이 굳건하게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교육해석학의 지평영역 확대가능성은 더욱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파노프스키를 중심으로 전개된 도상학(Ikonography)과 도상해석학(Ikonology)의 원리와 방법은 이론적 치밀성과 방법적 명료성으로 인해 교육학적 그림해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는 실제로 예술작품을 도상학적 해석방법과 한걸음 더 나아가 도야론(Bildungstheoire)적 관점으로까지 해석을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도상학적 교육해석학’의 가능성을 시론(試論)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영문 초록

Die Arbeit zielt darauf, die Ikonographie und Ikonologie von Erwin Panofsky als neue Dimensionen pädagogischer Bildhermeneutik darzustellen und darauf basierend pädagogisch relevante Kunstwerke praktisch zu interpretieren. Zur pädagogischen Hermeneutik wurde zuerst Begriffe und Ansätze der traditionellen Texthermeneutik vorgestellt, um dann sich auf die Bildhermeneutik zu beziehen. Bei der Ikonologie von Panofsky ging es um drei Schritte oder Ebenen der Interpretation von Kunstwerken: Die vorikonographische Beschreibung erfasst das natürliche Sujet und dann die ikonographische Analyse hat das konventionale Sujet zum Gegenstand. Die ikonographische Interpretation, die Panofsky auch als Ikonologie versteht, befasst sich mit der eigentlichen Bedeutung oder dem Gehalt. Nach diesem ikonologischen Modell versuchte ich, Selbstbilder von Albrecht Dürer in bildungstheoretischer Absicht auszulegen und den eigentlichen, pädagogischen Sinngehalt herauszustellen. Dürers Selbstporträts als künstlerisches Programm zeigen Beziehungen des Malers zur Kunst der Zeit oder zur Rolle des Künstlers in seiner Zeit, aber pädagogisch noch wichtiger anzusehen stellen sie sein eigenes Selbstverständnis und -erfassung dar, dessen Punkt als Bildungsprozesse des Individuums im Hinblick auf Selbst- und Weltverhältnisse zu verstehen gilt. Eine solche experimentell ikonologische Bildinterpretation kann neue Perspektiven zur Deutung des wesentlichen Sinn der Menschenbildung eröffn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승남(Son, Seung-Nam). (2008).교육해석학의 새 지평으로서 도상(圖像)해석학의가능성 탐색. 교육사상연구, 22 (2), 1-22

MLA

손승남(Son, Seung-Nam). "교육해석학의 새 지평으로서 도상(圖像)해석학의가능성 탐색." 교육사상연구, 22.2(2008):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