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정(upekṣā, 捨)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소고

이용수 180

영문명
Examination on the Status and the Role of the Equilibrium (upekṣā, 捨)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차상엽(Sangyeob Cha)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2輯,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기불교의 四靜慮 수행체계 중 네 번째 정려인 第四靜慮에서는 不苦不樂受, 평정(捨)과 마음챙김(念)의 완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중에서 평정은 열반경험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붓다고사(Buddhaghosa 5세기)는, 그의 주석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수행체계인 四靜慮와 四無量心의 수행체계를 결합시키고 있다. 즉 四無量心 중 慈‧悲‧喜무량심은 세 번째 정려의 계발로, 捨無量心은 네 번째 정려의 계발로 이끈다는 것이다. 결국, 붓다고사에 의해서, 四靜慮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第四靜慮의 평정이 四無量心 중 네 번째인 捨無量心과 결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후 『성문지』 등 초기유가행파의 문헌 속에서 평정은, 四靜慮 수행체계 중, 첫 번째 정려 이전인 等持의 단계에서 언급되고 있다. 여기에서 강조되는 평정은, 초기불교 사정려의 수행체계 중 네 번째 정려에서 강조하는 不苦不樂受와 평정이 아니라, 인식대상에 대한 無加行‧無功用으로서의 평정이다. 또한 초기불교에서는 四無量心 중 네 번째로 捨無量心이 강조되고 있지만, 티벳불교의 보리심을 계발하기 위한 因果七要訣 수행방식에서는 평정이 大悲의 토대로 강조된다. 이 因果七要訣 수행은 초기불교의 四無量心 수행방법을 재해석해서 대승불교의 수행체계로 재구축한 수행방식이며, 쫑카빠는 『보리도차제대론』에서 이러한 평정의 역할을 재차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fourth stage of dhyana-meditation (caturthadhyāna, 第四靜慮) in Early Buddhism emphasizes indifferent sensation i.e. the sensation of neither pleasure nor pain (aduḥkhāsukhāḥ vedanā, 不苦不樂受). Also emphasized, is the perfection of equilibrium (upekṣā, 捨) and mindfulness (smṛti, 念). In particular, equanimity is the foundation of the experience of release from all compulsion and suffering. Although the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are divided into dhyana-meditation and the four immeasurables (catvāry apramāṇāni, 四無量心). According to Buddhaghosa's (5th century) Path of Purification(Visuddhimagga, 淸淨道論), the cultivation of the unlimited feelings of friendship (maitrī, 慈), compassion (karuṇā, 悲), and joy (muditā, 喜) lead to the third stage of dhyana-meditation (tṛtīyadhyāna, 第三靜慮). Cultivation of the unlimited feeling of equilibrium leads to the fourth stage of dhyana-meditation. Buddhaghosa was probably the first commentator to make a connection with the fourth stage of dhyana-meditation and the four immeasurables. In the Śrāvakabhūmi(Shēngwéndì, 聲聞地), one of the Early Mind-Only(Yogācāra, 瑜伽行派) literatures, equilibrium is mentioned as the ninth stage of the mental abiding. The ninth stage is balancing the mind into samadhi (samādhatte, 等持). Here, the equilibrium which is emphasized in the Śrāvakabhūmi, is not the equilibrium of the sensation (vedanā, 受) but is the equilibrium of without application of purposeful cultivation (anabhisaṃskāra, 無加行), and being free from any effort (anābhogatā, 無功用性). Early Buddhism emphasizes equilibrium of the fourth dhyana-meditation stage and the four immeasurables. Later, in Tibetan Buddhism, the meditative practice of the seven cause-and-effect personal instructions (man ngag rgyu 'bras bdun ma, 因果七要訣) lay stress on the equilibrium as the basis of great compassion (mahākaruṇā, 大悲) and great joy among the meditation practices of the four immeasurables. Concerning the meditative practice of tranquillity (śamatha, 止), the illustrious master of the Tibetan dGe lugs pa order Tsong kha pa Blo bzang grapgs pa (1357-1419) also emphasizes the system of Śrāvakabhūmi and the seven cause-and-effect personal instructions. He also emphasizes the equilibrium as the stage of samādhatte in front of the first dhyana-meditation, as mentioned above. The equilibrium has connection with effortless and without proper mental preparation in the Lam rim chen mo(菩提道次第大論).

목차

국문초록
Ⅰ.서론 : 평정(upekṣā, 捨)은 四靜慮의 수행체계에서만 언급되는가?
Ⅱ.『보리도차제대론』 이전의 수행체계에 나타나는 평정
Ⅲ.『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나는 평정
Ⅳ. 결론
약호(略號)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상엽(Sangyeob Cha). (2009).평정(upekṣā, 捨)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소고. 보조사상, 32 , 1-32

MLA

차상엽(Sangyeob Cha). "평정(upekṣā, 捨)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소고." 보조사상, 32.(2009):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