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해안 연해읍성 옹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237

영문명
A Study on the barbicanes of the Coastal Town Castle on South Coast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일갑(Lee, IlGab)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60호, 117~14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5.0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해읍성에 축조된 옹성은 그 평면형태에 따라 ㄱ자형과 반원형으로 나눌 수 있다. ‘ㄱ’자형 옹성은 조선 전기의 직각에 가까운 옹성의 형태가 15세 이후 및 16세기로 갈수록 점차 곡선형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직각형→반원형으로 형식변화 되고 있다. 또한 길이:너비를 나눈 수치에 따라 타원형 옹성, 반원형 옹성으로 나눠지며, 타원형은 대부분 조선 전기 후반에서 중기에 속한다. 따라서 반원형 옹성은 16세기로 갈수록 타원형에서 반원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 연해읍성 옹성의 둘레에 있어서는 세종 20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에도 40m 이상을 상회하는 옹성 체성부가 축조 되고 있어 연해읍성의 옹성 체성부 둘레는 문헌기록을 이용한 50~60척이 아닌 100척으로 축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옹성은 축조시기에 따라 조선 전기에는 옹성 체성부의 폭이 읍성 체성부의 폭보다 1~1.5m 가량 더 넓게 축조되고 있으며 이것은 덧댄 것이나 동시축조나 동일하여 추후 축조로 인한 너비(폭)의 확대로 인한 것이 아닌 당초부터 체성보다 더 넓게 축조토록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음 세종조에서는 옹성 체성부와 읍성 체성부가 같은 폭으로 축조되다가 문종도 이후로 갈수록 다시 옹성 체성부의 폭이 읍성 체성부의 폭보다 넓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연해읍성 옹성의 성문과 개구부 폭은 3m 이상 4m내외로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으며 연해읍성 옹성에는 물의 출수를 담당할 배수로가 A형인 적석식 배수로와 B형인 측구식 배수로로 나눠지며 성문의 중앙을 관통하고 축조되고 있는 적석식 배수로가 성문 측벽 하단에 축조된 측구식 배수로에 선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barbicanes built in coastal town Castle can be divided into ㄱ and semicircular from according to its flat formation. 'ㄱ‘ shaped barbican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gradually changed to curved form as it went to the later 15th and 16th so its shape was changed from right angle to oval form. And also the barbicanes can be divided into oval and semicircular form according to the ratio of length versus width. Most of the oval form construc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nd most of the semicircular form was mad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middle of it.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semicircular shaped barbicanes was changed from oval form as it went to 16th. As for the size of it, when checking the girth based on king Sejong 20th, they were over 40m both before and after those days so they were built as much to 100 cheok not 50~60 as recorded in a literature. The width of the walls part of the barbicanes in coastal town Castl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The ones built in early Joseon Dynasty period were larger than those of town wall in the width as much 1~1.5m from the first time. This phenomenon was same for both the added and the original one so we can guess that the different size was original purpose not resulting from adding work after that. However the width of walls part of the barbicanes became same as that of town castle but it because larger again after King Monjong's dynasty. The width of castle gate and the opening of the coastal town walls kept the size 3~4m consistently. And the drainage canal, which was discharging water, in the coastal town Castle divided into A form, the standing shape, and B form, the side ditch shap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ing shaped drainage canal, which was built through the castle gate, was preceeding the side ditch shaped one, which was built at the bottom of side wall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고고학적 조사사례
Ⅲ 형식분류와 전개양상
Ⅳ 옹성의 비교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일갑(Lee, IlGab). (2008).남해안 연해읍성 옹성에 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0), 117-147

MLA

이일갑(Lee, IlGab). "남해안 연해읍성 옹성에 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0(2008): 117-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