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嶺南地方 側口部炭窯의 展開樣相과 構造復原

이용수 271

영문명
A Study of side vent attaches the charcoal kiln in Yongnam A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權龍大(Gwon, Yong-da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7호, 45~7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側口部炭窯는 측구를 이용하여 온도조절과 산소유입·차단, 연료공급 등 製炭 과정에서 원하는 형태의 白炭이나 黑炭을 용도에 맞게 생산할 수 있었던 구조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側面作業場은 측구쪽으로 산소의 유입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구조이며, 出炭과 작업공간으로서의 여러 가지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영남지방 측구부탄요의 조정은 철기 생산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3세기대를 상한으로 한다. 하한은 평면 타원형, 원형, 장방형인 탄요가 제작되기 시작하는 고려시대 이전으로 판단된다. 측구부탄요는 변천단계에 따라서 연도부와 소성부, 측구의 수에서 차이가 관찰된다. 1단계에서 4단계로 갈수록 소성부의 길이는 짧아지고 너비는 더 넓어지며, 측구의 수는 감소한다. 그리고 연도부와 연통부는 형태가 갖추어지면서 제탄에 효율적인 구조로 변화해 간다. 측구부탄요는 생산유적, 생활유적, 분묘유적 등과 함께 일정한 영역을 갖고 분포한다. 따라서 측구부탄요에서 생산된 목탄은 삼국시대의 각 단위 정치체들에 의해 관리·운영되었으며, 생산·생활·의례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측구부탄요의 구조는 함몰토층과 주혈 등을 통하여 추정복원 하였으며, 목재의 적재방법과 소요량에 대하여도 추정복원을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thought that side vent attaches the charcoal kiln can produce white or black charcoal in a desired from during the process of refinement by using blocking facilities in the flue section and side vent. Side workshop, therefore, is prepared for inflow of sufficient oxygen toward side vent rather than space for forcing charcoal into fire extinguishing. In addition, it must have played many roles including coal production and workshop. Side vent attaches the charcoal kiln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 by LW ratio of kiln, shape of flue section, and the number of side vents. The level of 3th century mostly has at least 10:1 LW ratio with kiln 10m or over in length and less than 1m in width. The flue section is not identified and there are more than 10m or over in length and less of 4th century,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one, has a less than 1m flue section identified. It may become deep with layers at the smoke tube section. The level of 5th century has between 6:1 and 10:1 LW ratio with kiln less than 10m in length and 1m or over in width. The flue section less than 1m in length is located at the end of kiln in 凸 shape and there are five to ten side vents. The level of 6th century, which is similar to the third one, has a flue section 1m or over in length and less than 10 side vents. All areas with side vent attaches the charcoal kiln don't have iron manufacture remains identifie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each unit political body was equipped with ironware production techniques and iron mines. It is likely that an area which has no iron manufacture remains but has said vent attaches the charcoal kiln identified produced charcoal for other purposes an that groups possessing iron manufacture techniques have different uses of charcoal.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側口部炭窯 構造의 分析과 復原
Ⅲ 側口部炭窯의 年代設定 및 展開樣相
Ⅳ 側口部炭窯의 木炭生産과 需給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權龍大(Gwon, Yong-dae). (2007).嶺南地方 側口部炭窯의 展開樣相과 構造復原. 한국상고사학보, (57), 45-76

MLA

權龍大(Gwon, Yong-dae). "嶺南地方 側口部炭窯의 展開樣相과 構造復原." 한국상고사학보, .57(2007): 4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