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단산문화의 농경과 생업 경제

이용수 248

영문명
A Study on the Agricultural Economy of Xituanshan Societ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吳江原(Oh, Kang-Wo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7호, 17~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단산문화의 생업 경제는 대체로 농경을 중심으로 하여 어렵, 수렵, 채집이 보조하는 형태의 생업 경제를 유지하여 왔는데, 획기 별로는 농법과 농경 이외 보조 경제가 전체 생업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초기와 전기에는 목제 따비, 목석제의 융기, 돌도끼, 나무 괭이로 이루어진 농경 도구로 구릉 사면에 기장, 조, 피, 삼을 휴경법으로 부분경하였고, 중기에는 목제 따비, 목석제 융기, 돌보습, 돌괭이, 돌호미, 돌가래 등으로 이루어진 농경 도구로 구릉 사면을 절대지로 하되 일부 곡저 하안 단구와 자연 제방에 전기와 같은 작물을 경작하였으며, 후기에는 중기보다 발달된 형태의 석제 농경 도구로 구릉 사면 외에 하안 단구, 자연 제방이나 평지, 소평야 또는 곡저 평야에 면한 구릉이나 대지에 기장, 조, 수수, 피, 콩, 삼 등을 역시 휴경법으로 경작하였다. 농경의 수준과 비중은 초기와 전기에는 농경이 완전히 순화되지 않은 작물을 재배할 정도로 미숙한 단계에 처하여 있었다. 따라서 부족한 먹을거리를 야생 식물을 석도로 채집하거나 수생 동물을 찔개살이나 그물로 획득하는 방식으로 보충하였다. 그러나 중기에 접어 들어 농경 도구가 점차 개량되고 농경 기술이 상대적으로 발전하면서 다른 생업 경제에 대한 의존도는 낮아지게 되었다. 후기에는 가경 공간이 저지로 확대됨에 따라 작품 수확이 대폭 제고되었는데, 기장과 수수 줄기와 콩껍질이 여물로 제공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축 사양 또한 폭발적으로 신장되기에 이르렀다.

영문 초록

The economy of Xituanshan society seems to be consisted of the agriculture as primary and fishery, hunting and gathering as secondary. There had been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primary job and the secondary jobs in length of time. During the early period(B.C. 9C) and the first period(B.C. 8C), they had cultivated the land in fallow to harvest millets, African millets, barnyard millets, and hemps using the agricultural implements such as wooden plow, stone bulge, stone axe, wooden hoe at the slope of hill. During the middle period(B.C. 7~6C), they had cultivated the land in fallow to harvest millets, African millets, barnyard millets, and hemps using the agricultural implements such as wooden plow, sone bulge, stone plowshare, stone hoe, stone weeding hoe, stone shovel at the slope of hill, the lower part of valley, the riverside, the terrace, and the natural levee. During the latter period(B.C. 5~4C), they had also cultivated the land in fallow to harvest millets, African millets, barnyard millets, beans, and hemps using more developed agricultural implements at such places as the slope of hill, the lower part of valley, the riverside, the terrace, the natural levee, the flat, and the small-sized plain. The level of agricultural cultivation in the early period and the first period had been unskilled. Thus, they had gathered the wild plants using the stone blade and catched the aquatic animals using the weir and the fishing net to make up the deficit.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agricultural implements and agricultural techniques in the middle period had reduced the dependence on the secondary agriculture. During the latter period, the increase of area under cultivation had raised the amount of harvest drastically and the livestock farming using the stems of millet and the bean chaff as a cattle fe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획기와 편년
Ⅲ 서단산문화의 획기 별 농경과 생업 경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吳江原(Oh, Kang-Won). (2007).서단산문화의 농경과 생업 경제. 한국상고사학보, (57), 17-44

MLA

吳江原(Oh, Kang-Won). "서단산문화의 농경과 생업 경제." 한국상고사학보, .57(2007): 1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