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이용수 548

영문명
A Study of the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at Okcheon-gu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구자진(Koo, Ja-Ji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47호, 5~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2.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옥천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통해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장방형)의 구조 및 생계방식, 생활상에 대한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 내부에서는 화덕자리와 저장구덩을 비롯하여 많은 기둥구멍이 조사되었으며, 이들 기둥구멍과 내부시설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계획된 설계와 측량을 통해 집을 지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집자리는 맞배지붕의 세마루(3량)구조에 해당하는 지붕형태로 복원하였으며, 벽체와 지붕이 분리된 구조를 띤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내부를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발전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천리 집자리와 동일한 구조를 띠고 있는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대전 관평동 유적을 비롯하여 청원 쌍청리, 보령 관창리 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이러한 집자리를 「대천리식 집자리」로 그 성격을 설정하였다. 대천리 집자리의 구조를 통해 내부공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각 공간의 규모와 내부시설 및 출토유물을 통해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나뉘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은 칸막이기둥으로 나뉘어지며, 생활공간은 다시 취사·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작업공간)과 휴식이나 잠자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거실공간)으로 세분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속공간은 저장구덩과 출토유물(갈판, 갈돌, 숫돌, 뒤지개류, 대형의 민패토기)으로 판단할 때, 곡물을 가공하거나 갈무리하는 장소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 중에는 내부시설과 기둥구멍 배치의 정형성으로 보아 집자리 내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공간의 활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기능이 분담되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국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는 대부분 기원전 3,5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신석기시대 후기를 거쳐 청동기시대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었던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focused on clarifying the dwelling site's function analysing the structure and the excavated remains from the Daechon-ri Neolithic dwelling site. We found that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the living condition can be restored since interior facilities and post-holes of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have been well preserved. The dwelling site has become restored as having a rectangle plan with gabled roof. The wall is known as being exposed on the earth and the roof distanced from the earth, also. And the living space and the attached space are seen to have been separated in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dwelling site. Moreover, the living place seems to have been divided as two spaces;the working spa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 the living space for resting and sleeping. Another example excavated at Gwanpyeong-dong(官坪洞), Daejeon(大田) showed the same style of dwelling, so those sites of the same style were named as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大川里式 住居址), which is marked by the distinctive interior division structure and the popped out oval pit. In addition to the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structure and the remains of a number of Neolithic dwelling sites excavated in inland and souther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it is ascertain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a dwelling site was divid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difference, and accordingly the remains from a dwelling site showed difference in subsistence strategy. The Neolithic rectangular dwelling site had begun to appear after 3,500 B.C., and lasted throughout Neolithic period, and succeeded into the long-rectangular dwelling site of Bronze Ag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solving the conversion process from the Neolithic to the Bronze Ag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집자리의 구조와 특징
Ⅲ. 집자리의 복원
Ⅳ. 집자리의 공간분석
Ⅴ.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의 구조와 공간활용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진(Koo, Ja-Jin). (2005).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47), 5-36

MLA

구자진(Koo, Ja-Jin).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47(2005): 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