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飛鳥時代 倭 檜隈寺址에 나타난 百濟의 建築考古文化

이용수 221

영문명
The Architectural Tradition of Baekjae Reflected in the Japanese Hoewoe Temple Site of the Asuka Er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趙源昌(Cho, Won– ch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8호, 107~12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1.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비조지역에는 비조사를 비롯한 풍포사, 정림사, 회외사등의 寺址가 남아있다. 이들 사지에서는 백제의 장인들에 의해 축조·제작된 백제계의 基壇, 가마, 기와 등이 발굴조사결과 확인된바 있다. 특히 東漢氏 및 坂上氏에 의해 창건된 회외사지에서는 백제의 부여지역에서 살필 수 있는 瓦積基壇, 二重基壇, 夾築基壇, 版築工法 등의 건축기술을 볼 수 있다. 회외사지금당지에서 확인되는 이중기단은 扶蘇山廢寺址 금당지 등에서 찾아 볼 수 있고, 협축기단의사례는 龍井里廢寺址 하층금당지 및 雙北里遺蹟 등에서 살필 수 있다. 그리고 판축공법으로 조성된 금당지기단토는 龍井里廢寺址 목탑지에서 확인된 바 있다. 끝으로 강당지에서 조사된 平積式의 瓦基壇은 백제사비기의 관북리추정왕궁지 및 왕흥사지서회랑지 등에 축조되어 있다. 이처럼 비조시대회외사지에서 보이는 여러 건축기술은 그 원천이 백제에 있었고 회외사지로 전파되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In Bijo area, many temple sites are remained, such ones as Pungpo, Jeongrim and Hoewoe along with Bijo. Through many excavation researches, it's been proved that the stylobate, kilns and tiles in these temple sites had been made by artisans from Baekjae. Particularly, in the Hoewoe temple site built by those of Donghan lineage and Pansang lineage, the architecture technologies of Buyeo and Baekjae are found, such as the stylobate made by laying tiles, double stylobate, the stylobate made by piling up til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piling up boards. The double stylobate of the main building in Hoewoe temple site is also found in the main building of the ruined temple site in Mt. Buso, and the piled-up stylobate of Hoewoe temple site is also observed at the lower level of the main building of the ruined temple site in Yongjeong-ri and at the ruins in Ssangbuk-ri, and at other places. Also, the stylobate filling, which was built by the piling-up method, exists in the ruined wooden temple site of Yongjeong-ri. Lastly, the tile stylobate of the hall site of Hoewoe, constructed by piling tiles flatly, is found in the presumptive palace site of the Sabi era of Baekjae in Kwanbook-ri, and in the western corridor of the Wangheung temple site, and at other places. As the examples above suggest clearly, different architecture technologies of Hoewoe temple site of the Bijo era were originally from Baekjae.

목차

요약
Ⅰ. 序論
Ⅱ. 檜寺의創建과發掘調査槪要
Ⅲ. 檜寺址에보이는百濟의建築考古資料
Ⅳ. 百濟建築考古資料와의比較檢討
Ⅴ. 結論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源昌(Cho, Won–,chang). (2007).飛鳥時代 倭 檜隈寺址에 나타난 百濟의 建築考古文化. 한국상고사학보, (58), 107-129

MLA

趙源昌(Cho, Won–,chang). "飛鳥時代 倭 檜隈寺址에 나타난 百濟의 建築考古文化." 한국상고사학보, .58(2007): 107-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