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의 화장묘 수용과 전개

이용수 886

영문명
The Study on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Crematory Grave in Sill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홍보식(Hong bosi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8호, 77~10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1.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 화장묘에 대한 기존 연구는 장골기의 형태에 초점이 두어져 그 특징과 변화에 대한 이해는 어려웠다. 그래서 본고에서 화장묘의 구조와 장골기를 분석하여 화장묘 변화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화장묘를 二重型과 單一型으로 대분하고, 골기의 재질차이를 근거로 세분하고, 사리용기와의 비교에 의해 연대를 설정하였다. 대부분 왕경에 조영된 이중형화장묘는 전용 장골기를 만들거나 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도자기등을 사용하였지만, 지방에 조영된 화장묘는 대부분 단일형이고 일상용기를 장골기로 사용하였다. 신라에 화장이 시행된 시기는 6세기 후반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으나 실물은 확인되지 않았고, 7세기 초부터 왕경에 화장묘가 조영되었지만, 실물자료는 아주적고, 8세기 후반에 이르러 수가 증가한다. 8세기 전반 왕경에는 연유도기를 사용한 내·외용기로 된 이중형의 고급장골기가 사용되고, 8세기 후반에는 이중형 의석함형과 토기형이 왕경에 조영되고, 지방에는 단일형의 토기형이 조영되었다. 9세기대에 왕경은 물론 지방에도 화장묘가 활발하게 조영되면서 다양한 형식의 화장묘가 나타났다. 지방으로 화장묘가 확산된 것은 8세기 후반 이후 불교의 지방확산에 의한 불교적 죽음관의 수용이 이루어진 결과이지만, 전통적인 묘제의 감소에 비례할 만큼 많은 화장묘가 조영되지 않은 것은 장골보다 산골을 선호한 당시의 습속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on the crematory grave in Silla focused mainly on the form of urn(葬骨器), so neglected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a crematory grave. This study sets up a standard of change in a crematory grave by examining the structure of a crematory grave and urn equipments. I established the date of a crematory grave by dividing crematory graves into singular form and double form, subdividing them with urn equipments, and comparing an urn with a sarira case(舍利容器). The double type of crematory graves was built in the capital and was made of an exclusive urn or an import chinaware, but the singular type of crematory graves was built in the provinces and used usual pots as urns. The crematory customs in Shilla could be dated back to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but the real thing was not discovered at all in this period. A crematory grave started to be built from the 7th century in the capital and increased in number in the latter half of the 8th century. The crematory graves built in the capital used the double type of an expensive urn which consisted of interior and exterior in the first half of 8th century, and used a double type of stone case(石函形) and earthenware(土器形) in the latter half of 8th century. The forms of crematory graves were various being built in the provinces as well as in the capital in the 9th century. Their spreading was due to the acception of Buddhist thought of death, as Buddhism diffused into the provinces. However, traditional burials remained superior to cremation, because it seemed that scattering ashes in the woods or a river had been preferred to putting them in an urn.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개요와연구사검토
Ⅲ. 화장묘와장골기분류
Ⅳ. 장골기편년
Ⅴ. 화장묘수용과전개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보식(Hong bosik). (2007).신라의 화장묘 수용과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58), 77-105

MLA

홍보식(Hong bosik). "신라의 화장묘 수용과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58(2007): 7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