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이용수 4011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Justice Literature in Korea: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문형구(Hyoung Koo Moon) 최병권(Byoung Kwon Choi) 고욱(Wook Ko)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7권 제2호, 229~306쪽, 전체 7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12,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직공정성은 모든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쏟아 온 주제이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의 정도가 조직 속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지난 15여 년간 조직공정성에 대한 국내 경영학계의 연구는 인사고과, 보상, 조직변화 등 다양한 상황 속의 조직공정성을 다루어 왔다. 국내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돌이켜보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고민하는 노력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행동 및 인사ㆍ조직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총 62편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구성은 전반적 연구현황,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반적 연구 현황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을 연구 편수, 연구 유형, 연구대상 등을 기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이론 및 유형, 연구의 형태 그리고 연구방법 등과 관련한 이슈 및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 조직공정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조직공정성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국내 실증 연구 결과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조직공정성 연구는 서구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첫째 조직공정성 이론의 활용에 있어 특정 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점, 둘째 조직공정성의 유형 중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으나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결과는 서구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서구 연구에 비해 다양한 결과변수가 연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이론의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에 관한 다양한 이론의 활용,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이론의 개발, 조직공정성 유형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불공정성 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2) 조직공정성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조직공정성의 유형뿐만 아니라 조직공정성의 원천(공정성을 인식하는 대상, 즉 무엇에 대한 공정성인지)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3) 연구형태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 유형들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정성적 연구의 필요성, 분석수준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4) 마지막으로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 공정성의 다양한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예를 들면 스트레스 혹은 직장 가정 갈등), 조직공정성의 선행 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인식 및 결과에 있어서 개인차와 감정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맺음말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향후 과제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rganizational justice is a topic that has drawn much attention by all areas of social sciences. The great influenc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has on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is cited as the main reason for this heightened interest. For the last 25 years, domestic research has studied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context of many areas, such as performance appraisal,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hange. Domestic literatu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but has suffered some qualitative flaws. Specifically, there is an absence of research that critically reviews past studie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critically examine the past 25 years of domestic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us present a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62 studies on organizational justice, drawn from academic journals 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ur system of analysis consists of a general overview of the research; an analysis of the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 substantive analysis. In the general overview, we describe a number of trends found in the past 25 years of research, according to quantity, research type, and subject of research. In the analysis of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we consider the relevant issues and limitations regarding the theories, dimensions, study models and research methods for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substantive analysis, we prese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focusing on aspects such as antecedents &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ediating and/or moderating effects of justice,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y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that distinguish domestic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from its Western counterpart. First, the research tends to focus on certain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instead of covering a wider range. Second,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re actively discussed, while there is virtually no mention of informational justice, which is highly relevant today. Third, while the research regar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ve yielded similar results domestically and in the West, domestic studies on the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re relatively weak. In this study, we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1) Theory-utilize a wide arra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develop theories that are tailored to domestic circumstances within Korea,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injustice; 2) Organizational Justice Types-conduct research that encompasses both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and the sources of justi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justice inquiry), commence studies on informational justice, and improve the tools that are us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3) Research Models-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recognize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expand the breadth of analysis; and 4) Substantive Analysis-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following topics:the various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such as stress or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justice antecedents, the effect of personal differences and emotion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implications of societ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justice. In conclusion, we summarize the issues that will need to be addressed in fu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한계
Ⅲ. 향후 연구 방향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고욱(Wook Ko). (2009).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인사조직연구, 17 (2), 229-306

MLA

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고욱(Wook Ko).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인사조직연구, 17.2(2009): 229-3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