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앙정부의 생산성 평가

이용수 102

영문명
ProductivityAnalysisoftheCentralGovernmentinKorea:TimeSeriesAnalysisoverthePeriod1970-2002
발행기관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저자명
문춘걸(Choon-GeolMoon) 현진권(JinKwonHyun)
간행물 정보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2.2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정부의 산출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이 분류에 의거한 산출량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본 연구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정부부문의 생산성을 측정하였다.정부부문의 산출이 달성하는 여러 가지 정책목표 중 본 연구에서는 정부부문의 투입이 민간부문 경제의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측하여 정부부문의 생산성으로 정의하였다.이 개념은 정부부문의 투입으로 생산되는 여러 가지 정부의 기능(산출)중 일부만을 고려하는 단점이 있으나 민간부문 경제의 활성화가 정부기능 중 제일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인 점을 인정할 때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Kwackand Lee(2002)의 민간부문 국내총생산,노동투입,건축구조물 자본투입,기계설비 자본투입에 대한 수치자료를 사용하여 민간부문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율을 지수접근법으로 계측하였다.민간부문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율은 1965년,1972,1977~1980년,1989년,1992~1993년,1998년에 음의 값을 기록하였다. 1958년의 민간부문 총요소생산성을 1로 두었을 때,2000년의 민간부문 총요소생산성은 약 2.8로 계측되었다. 정부부문의 생산성 변화율 추정치는 민간부문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율 추정치를 민간부문 국내총생산 변화율과 정부투입(공무원 수,공무원 인건비를 제외한 정부지출)의 변화율로 구성된 시변계수모형을 추정한 후 정부투입의 변화율이 설명한 부분을 추출하여 계측하였다. 1972년,1974년~1975년,1979년,1983년~1986년,1988년,1991년,1993년~2002년에는 정부부문의 생산성 변화율이 음의 값을 기록하였으며,1973년과 1980년~1982년에는 정부부문의 생산성변화율이 큰 양의 값을 보였다.1993년~2002년 기간 중 2000년부터는 지속적인 하락세가 감소되어 있어 향후 정부부문 생산성 변화율이 양의 값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For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devoid of a classification system and compilation of data on government outputs,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central government's productivity directly. In this paper, we adopt an indirect way of measuring central government productivity. Even though the government pursues many policy objectives, we focus one comprehensive and important objective ― enhancing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of the civilian (that is, non-governmental) sector. That is, we define our measure of the rate of change in central government productivity by the contribution of the rates of change in central government inputs to the rate of change in the civilian sector TFP. We form the discrete Divisia index of the civilian sector TFP based on the index approach to the civilian sector GDP, labor, and two types (building and structures; equipment and machinery) of physical capital. Then, we estimate a time-varying coefficient model in state-space form, relating the rate of change in the civilian TFP to the rate of change in the civilian GDP and the rates of change in the two government inputs (the number of governmental employees and government expenditures net of wages and salaries to government employees). Finally, our measure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central government productivity is simply the portion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civilian TFP explained by the two government inputs. We find that our measure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government productivity took negative values in 1972, 1974~1975, 1979, 1983~1986, 1988, 1991, and 1993~2000. It is notable that throughout the most recent period spanning from 1993 to 2000 the government productivity fell. One explanation for this fall is that prior to 1993 among many diverse government policy objectives the government regarded economic development as its top priority. However, reflecting diverse interests and desires of the general public, the weight placed by the government on economic development became lighter in recent year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모형설명
Ⅳ. 정부부문 생산성 추정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춘걸(Choon-GeolMoon),현진권(JinKwonHyun). (2004).중앙정부의 생산성 평가.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4 (1), 1-40

MLA

문춘걸(Choon-GeolMoon),현진권(JinKwonHyun). "중앙정부의 생산성 평가."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4.1(2004):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