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이용수 1926

영문명
Learning in the study circle as a community-based organization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박상옥(Park, Sang Ok)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225~25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실천조직인 학습동아리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주부들이 어떤 학습을 하고 어떻게 학습하는가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부천에서 활동하는 생태안내자 모임인 청미래를 대상으로 하였고, 민속기술자(Ethnography)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론적 틀인 문화사회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 CHAT)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실천조직인 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는 주부들은 조직의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활동(activity)의 주변적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동하고 그 활동을 자신의 전문분야로 발전시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은 이와 같은 종류의 학습, 즉 지식과 기술의 습득 및 향상이라는 학습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서 삶의 태도 및 가치 등 삶의 전반이 변하였다. 그들은 지역사회 내에서 자연환경을 지키는 실천가로 변모하였다. 즉, 교환가치가 아닌 사용가치에 의한 지역사회 발전을 촉진하는 주체로 성장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발견한 가장 중요한 점은 주부들의 능동적 학습이 학습동아리에서 그들의 활동을 확장(expansion)시키는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들의 활동은 인접한 활동들과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활동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내부와 요소들 간의 모순들이 드러나고 이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재구성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학습을 CHAT에 의하면 확장학습(Expansive learning)이라 부른다. 학습동아리에서 확장학습(Expansive learning)은 단순히 활동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의 이동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사회문화적 위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그들의 활동과 지식의 지속적인 재구성과 생산이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began with the concern about housewives as active learners who are agents in their own learning and produce new knowledge in and on the sites of their lives. This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ctive housewives' learning in a community-based organization. Using ethnographic methods such as the observation, the interview, and the interpretation of documents, I conducted research in a community-based organization, Green Future, in a city in Korea, in which the housewives have guided and taught the natural environment to the resi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and feminist standpoint theory. I found that the housewives have moved from the periphery toward full participation in the practice and adopted the activity as their profession as well as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as they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of the organization. But their learning in the community-based organization was not confined to only this kind of learning.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practitioners to keep the natural environment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the agents to facilitate community development in terms of use value, not of exchange value. The first thing I found in the study was also that active learning of the housewives has appeared with the expansion of their activities in the community-based organization. Their activities have continuously been reconstructed through the emergence and settlement of the contradictions within and between the elements of activity as well as the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activities. Their expansive learning was not simple movement from the periphery of the activity to the center, but continuous reconstruction and production of new knowledge and activity in the community depending on the housewives' standpoi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옥(Park, Sang Ok). (2009).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평생교육학연구, 15 (1), 225-259

MLA

박상옥(Park, Sang Ok).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평생교육학연구, 15.1(2009): 225-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