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이미지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의의(意義)

이용수 216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Image in Ontology and Epistemology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고호빈(Ko, Ho-bi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12집, 163~19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성립하는 예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류적인 영화학에서는 이미지가 오히려 부차적인 것으로 치부되어버리고 있다. 이러한 본말의 전도(顚倒)는 비단 영화학에서만 벌어지는 일은 아니다. 우리는 현실이라고 말해지는 감각(感覺)의 세계에서 살아나가는 존재이면서도, 진리(眞理)를 지향하는 사유 이데올로기에 지배당하고 있다. 감각된 바를 추상화(抽象化)하여 개념 짓고, 체계를 부여하고, 법칙화 할 때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사유를 구속하고, 사회, 문화적 제도(制度)로 전사(轉寫)되면서 스스로를 질식시키고 소외시키는 진리의 이데올로기를 반성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시도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적 사유는 이성적(理性的) 사유에서 배제되어 온 이미지와 감각의 영역을 복권시킨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생생하고 역동적인 현실적 세계를 형해화(形骸化)해버리는 개념적 사유, 체계적 사유를 해체하고 감각과 사유를 융합함으로써 열린 사유에 이르고자 한다. 이것 아니면 저것의 사유가 아니라 이것일 수도 있고 저것일 수도 있다는 사유의 포용력과 관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사유 아래에서 영화 이미지는 재발견되고, 영화의 본질이 무엇이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개념과 체계로서의 세계가 아니라 이미지로서의 세계를 그대로 포착하고 현시(顯示, presentation)하는 이미지로서의 영화가 재발견되는 것이다. 이때 영화 이미지는 현실의 기계적인 복제도 재현(再現, representation)도 아니다. 왜냐하면 이미지를 파지(把持)하는 영화 카메라는 개념적 체계에 따라 사유하는 인간의 주관적 관점(觀點)을 초월하여 객관적인 실재(實在)에 접근해 들어갈 수 있는 자유로운 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계와 규칙이라는 관성과 타성에 따라 작동하는 이성(理性)이 재현해낸 주관적인 현실이 아니라, 객관적 실재로서의 현실을 현시해내는 것으로서의 영화 이미지의 존재론적-인식론적 의의는 재평가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ain of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image in ontology and epistemology. According to Deleuze who wrote , the trajectory of the cinema recapitulates that of philosophy and its gradual discovery of what images is. The potential of the cinema as a kind of images remains only a potential unless certain film kind images are enlisted to propel thinking to its limits, and this is never simple. As an industrial art, the cinema has unparalleled economic and industrial consequences, and for this reason the invention of new images is infinitely easier to prevent. This must be seen against the backdrop of what amounts to the development of cinematographic regularities, which gravitates toward to inertia of our perception. The old order of things is irremediably deregulated by World War Ⅱ. In the tracts o postwar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re is no longer any good, any justifiable reason for the rational linkage of images, and the cinema undergoes remarkable mutation. The new film images in the New Waves cease to make sense, developing instead into the bizarre and the banal; the unity of time and space into so many disparate fragments. They no longer obey laws of traditional, commonsensical causality. By developing new images, the modern cinema thus establishes a new logic among images, that is, a new kind of montage. No longer linked by the schematic causality, the relation between one image and another a gap opens, an interstice we can experience what Deleuze calls the 'plane of immanence'. This plane is the virtual, nonhuman and prephilosophical milieu, in which image = matter = movement =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cinema augurs a path to a plane that, superseding the limits of normal perception, deterritorializes the classic coordinates of philosophy. The cinema opens the possibility of deterritorializing the rigid image of thought that in one form or another has dominated Western philosophy. When the cinema ceases to imitates normal human perception, it discovers the universe as cinema in itself.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호빈(Ko, Ho-bin). (2005).영화 이미지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의의(意義). 인문사회과학연구, 12 , 163-199

MLA

고호빈(Ko, Ho-bin). "영화 이미지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의의(意義)." 인문사회과학연구, 12.(2005): 16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