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이용수 537

영문명
Huyan Theoretical Interpretation on J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석길암(Seok Gil-am)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0輯, 383~41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0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화엄성기론의 입장에서 지눌의 깨달음[頓悟]과 닦음[漸修]에 담긴 함의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화엄에서는 性起를 그 사상의 핵심으로 한다. 성기는 本來不動의 無分別인 寂靜의 세계와 무분별로서의 일어남[起]이 일체화된 세계로 설명된다. 따라서 무분별의 본래부동인 性이 그 일어남[起]에 의해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중생의 마음경계에 현현하는 것으로서의 佛世界’에 강조점을 두는 것에 성기사상의 주된 특징이 있다. 智儼이든 義湘이든 보현행품이 성기에 포함됨을 강조하는 것은 이 ‘일어남’이 性과 결합하는 것에 성기의 초점을 두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엄의 성불론은 ‘초발심시변성정각’으로 상징되듯이 住初成佛 곧 信滿成佛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깨달음의 세계로의 증입[悟入]을 의미하는 것일 뿐이다. 곧 세계의 본래면목으로서 본래 부동의 세계를 확신[信滿]하는 것에 주초성불의 초점이 있다. 因行이자 果行으로서의 普賢行이 화엄에 예비되어 있는 것은 이 같은 이유이다.
  지눌이 주장하는 돈오점수의 사고는 여기에 상당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 곧 지눌의 돈오는 自性慧用이 강조된 것으로 혜능의 對境慧用을 강조하는 돈오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동시에 화엄의 성기가 自性ㆍ本來性으로서의 性과 일어남[起]을 적극적으로 일체화하고 있는 것, 보현행을 이미 성기의 본래면목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과도 차이가 존재한다. 여기에 지눌이 돈오 이후의 悟後修로서 漸修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곧 지눌은 돈오를 자성혜용의 성격이 강조점을 두어서 개념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일어남[起]에 초점이 있는 화엄의 성기와는 사뭇 다른 결과를 초래하고 있고, 결과적으로 점수를 설정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이것은 불교의 본령을 자비행?佛行 곧 깨달음 이후의 실천행에 두고 자 했던 지눌의 의도된 결과일 수도 있다. 곧 悟後修라고 표현되지만 실은 불교의 본령을 깨달음 그 자체가 아닌 깨달음 이후의 실천행에서 찾고자 했던 지눌의 의지가 표현된 것이 돈오점수라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화엄에서는 ‘성기’, 혜능에 있어서는 ‘돈오’라는 언명으로 충분했던 개념이 지눌의 이 같은 의도에 의해서 ‘점수’를 초점으로 하는 개념으로 변화한 것이 ‘돈오점수’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meaning with J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from view of Huayan theory of Nature Arising (性起, Xingqi).
  Nature Arising occupies the core position in Huayan thought. It is explained as the world where the Non- Discriminated and Originally Non-Moved Tranquillity is identified with the Non-Discriminated Arising. Thus, in respect that the Non-Discriminated and Originally Non-Moved Nature is described by Nature"s Arising, main characteristic of Nature Arising theory lies in positive stressing Buddha"s World as presented in Sentient Beings" mind. The fact that both Zhiyan (智儼) and Uisang (義湘) emphasize that the Chapter on Samanthabhadra"s Practice (普賢行品) is included in Nature Arising, informs us that they take the core of Nature Arising as Arising"s union with Nature.
  As represented by “As soon as s/he arises his/her mind for the first time, s/he attains right Enlightenment,” Huayan theory of becoming Buddha is generally said to be “First Abide Becoming Buddha” (住初成佛) or “Full Faith Becoming Buddha.” (信滿成佛) However, it just means entering the world of   Enlightenment. Rather, the focus of “First Abide Becoming Buddha” lies in having firm faith in the world of Originally Non-Moving as the original aspect of the world. It is the reason why Samanthabhadra"s Practice as both causal practice and resultant practice is contained in Huayan Buddhism.
  Even though Jinul"s thinking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seems to also correspond to this, it has subtle difference from this. Jinul"s Sudden Enlightenment which stresses Function of one"s own Wisdom is different from Huineng (慧能)"s Sudden Enlightenment emphasizing Function of Wisdom of outer objects. It has also difference from the fact that Huayan Nature Arising identifies Arising with Nature as the original nature and that already has placed Samanthabhadra"s  Practice on the original aspect of Nature Arising. In this point, there is a reason why Jinul puts Gradual Cultivation as the practice followed enlightening after Sudden Enlightenment. Because he asserts Sudden Enlightenment with emphasizing its characteristic as Function of one"s own Wisdom, his idea should be different from Huayan Nature Arising focusing on Arising, and, consequently, he has no choice but present Gradual Cultivation.
  In other hand, it might be because he intends to explain Buddhist characteristic as the practice after enlightening like the compassion practice and Buddha"s practice. Though expressed as the practice after enlightening, J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might reveal his will to search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m not within the enlightenment itself but within the practice after one"s enlightenment. Thus, J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s the idea transformed, by his intention focused on Gradual Cultivation, from Nature Arising of Huayan and from Sudden Enlightenment of Huineng.

목차

국문초록
1. 序言
2. 지눌의 깨달음[頓悟]에 담긴 함의
3. 지눌의 닦음[漸修]에 담긴 의미
4. 結語; 性起와 頓悟漸修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길암(Seok Gil-am). (2008).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보조사상, 30 , 383-417

MLA

석길암(Seok Gil-am). "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보조사상, 30.(2008): 383-4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