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寶雲義通의 생애를 통해서 본 高麗ㆍ中國의 天台佛敎 - 10세기 중국 天台敎學의 발전을 중심으로

이용수 256

영문명
The Cheontae Buddhism of Koryo and China investigated through Bounuitong"s life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Cheontae studies in China, the 10th century -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윤기엽(Yoon Ki-yeop)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0輯, 343~38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0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천태종의 제13대 祖師인 寶雲義通의 생애는 크게 高麗에서의 20여 년, 吳越에서의 40여 년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후삼국 통일전쟁기에 고려에서 성장기를 보낸 의통은 20세가 되던 947년(後晉 天福 12) 경 중국에 건너갔다. 당시 高麗의 天台學 연구는 부진한 상태였고, 중국의 천태학을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이때 의통은 求法僧으로서 吳越國에 건너간 것이다.
  의통이 오월국에 도착한 후 20여 년(947~968) 동안의 求法修學期 중에 天台德韶에게 禪法을 깨우치고 螺溪義寂에게 천태학을 受業한 과정은 10세기 중엽 중국불교계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五代의 혼란기를 통하여 중국에서는 法眼宗과 雲門宗이 크게 발전하였고, 天台宗은 법안종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그리고 오대의 혼란기에 불교를 보호한 나라는 錢氏王朝의 吳越國이었고, 고려는 후삼국의 전란기에도 해상로를 통해 오월국과 빈번히 교류하고 있었다.
  의통이 오월국에서 구법수학한 시기에 고려에서 智宗과 諦觀이 건너왔다. 지종은 959년에 건너와 의통의 구법 과정과 유사하게 永明延壽로부터 法眼禪을 수학하고, 나계의적으로부터는 천태학을 수학하였다. 그리고 961년 오월국에 도착한 제관은 불교서적을 전하고 교학을 전수하기 위해 파견된 고려의 문화사절이었다. 특히 제관은 오월국에 남아 천태학 입문서인『天台四敎儀』를 남김으로써 훗날 北宋代 천태종의 中興에 기여하게 되었다.
  의통이 錢惟治의 만류로 귀국을 단념하고 20여 년간 傳敎院(후에 寶雲寺)에서 가르침을 편 傳敎時期는 중국 천태종 중흥의 기운이 싹튼 시기였다. 의통의 문하에 法智知禮와 慈雲遵式이 배출되면서 천태학 연구가 새로운 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특히『金光明經玄義』의 광본ㆍ약본의 眞僞문제로 시작된 山家山外의 논쟁이 더욱 확산되어 가면서 천태종의 中興期를 가져왔다. 지례는 산가산외의 논쟁을 주도하한 인물이었지만,『金光明經玄義拾遺記』와 같은 그의 주요 저술을 볼 때 상당 부분이 스승 의통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천태학의 정통이 된 산가파의 사상에 의통의 영향력이 지대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의통의 전교활동은 北宋代 천태종의 중흥을 가져온 중요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eminent monk Bounuitong(寶雲義通), who became the 13th patriarch of Cheontaejong(天台宗) due to producing a worthy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Cheontaejong, was born in Koryo(高麗), in 927 and went over to China at the age of twenty, in 947 or thereabouts. When the monk Uitong lived in Koryo, it was in a state of political disorder because of a period of internal disorder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so the growth of Cheontae(天台) studies in Koryo was depressed at that time. Therefore, Uitong was the monk who went to the southern China, Owol(吳越) natio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way of the Buddha.
  Uitong had learned Son(禪) from the monk Cheontaedukso (天台德韶) and Cheontae studies from the monk Nagaeuijeok(螺溪 義寂) for about twenty years(947~968) after arriving in Owol. During this time, active cultural exchange through Buddhism between Koryo and China prospered. For good examples, the monk Jijong(智宗) from Koryo, who arrived in Owol in 959, learned Beopanson(法眼禪) from Youngmyongyunsu(永明延壽) and Cheontae studies from the monk Jungkwang(淨光). Jijong enhanced his reputation as the scholar of Cheontae studies there, and after that returning to his country, in 970, he introduced Cheontae studies of China into Koryo. Invited by the king of Owol, Junhongsuk(錢弘?), Koryo envoy Jaegwan(諦觀) went over to the nation in 961, and handed Cheontae publications there which had been destroyed at the time of chaotic Five Dynasties in China. He was dispatched as a cultural envoy by Koryo government for imparting Koryo Cheontae studies to China differently from Uitong and Jijong. Writing the Cheontaesakyoui (天台四敎儀) which was estimated as a immortal work in the history of Cheontae studies, he died there in 970 or thereabouts.
  Having given up the idea of returning to Koryo by Junyuchi (錢惟治)"s persuasion, Uitong stayed at Junkyowon(傳敎院) for twenty years(968~988) and then produced brilli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eontaejong as he educated many pupils. He had two pupils named Beopjijirae(法智知禮) and Jaunjunsik(慈雲 遵式) among many eminent pupils at that time. Jirae studied Cheontae studies and taught it eagerly, while Junsik disciplined himself and practiced what he had learned. Especially the 14th patriarch of Cheontaejong(天台宗), Jirae succeeding to Uitong called his group Sanga(山家) group, regarded it as the orthodox school. On the other hand he called the other group Sanuae(山外) group and criticized its theory. The controversy between two groups had been constant since Jirae generation, eventually Sanwae(山外) group became the orthodox school of Cheontaejong by group"s continuous succession. Cheontaejong in China was restored in the North Song(北宋) period by the lasting controversy between two groups. And it was Uitong who had them form the basis of this controversy.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Cheontaejong in China started from Uitong"s teaching at Junkyowon, and then reached its zenith at the age of his pupil generation, the North Song(北宋) period. Because of this point, the position of Uitong in the history of Cheontaejong in China has significant meaning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寶雲義通의 생애
Ⅲ. 10세기 高麗ㆍ中國의 天台佛敎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기엽(Yoon Ki-yeop). (2008).寶雲義通의 생애를 통해서 본 高麗ㆍ中國의 天台佛敎 - 10세기 중국 天台敎學의 발전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0 , 343-381

MLA

윤기엽(Yoon Ki-yeop). "寶雲義通의 생애를 통해서 본 高麗ㆍ中國의 天台佛敎 - 10세기 중국 天台敎學의 발전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0.(2008): 343-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