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강의평가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이용수 1532

영문명
Validating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Scale and Analyzing Multilevel Model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염시창(Yum Sicha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2호, 25~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기말에 활용할 수 있는 다차원적 강의평가도구의 일차원 요인과 이차원 요인의 확인을 통해 평가도구를 타당화하고, 강의총평에 대한 강의평가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며, 강의총평 관련 변인의 효과를 다층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5문항으로 구성된 강의평가도구를 대학생 5,575명이 수강한 413과목에 시행하여 총 32,6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ㆍ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강의의 전반적 질’ 영역에 강의구성 및 강의진행 요인, 그리고 ‘학습자 규제’ 영역에 평가와 강의부담 요인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차원 이요인 모형과 이차원 일요인 모형을 비교한 결과, 두 가지 모형의 적합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총평에 대한 영향력 분석에서는 강의구성, 강의진행, 평가 요인의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셋째, 강의총평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결과, 학생수준의 기대학점과 강좌수준의 강의구성 및 강의진행 변인의 영향력이 유의한 반면, 교과구분 및 강의부담 변인은 유의하지 못하였다. 또한 기대학점과 강의구성 및 강의진행 변인에 의해 강의총평 분산이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따라서 기대학점의 영향력을 통제할 때, 강의총평의 합성점수가 총괄적 강의평가 점수로 활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a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scale through a series of factor analyses as well as structural and multilevel modeling.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scale contained 25 evaluative items, which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from 5,575 students with 413 course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rovided a clear interpretation of first-order teaching quality on four factors: course organization/design, pedagogic performance, grading and course demands. However, the results did not provide a clear interpretation of two second-order dimensions of teaching quality: general quality of teaching and regulating students" learning. Scores on the course organization/design and the pedagogic performance factors had the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actor of overall rating on the scale. A series of multilevel modeling were used to answer the impact of the student- and the course-level variables on overall rating. The outcomes from these models revealed that expected grade as well as course organization/design and pedagogic performance had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rating. In these models, the between-course variances of overall rating were smaller and becam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finding showed that course organization/design and pedagogic performance predicted overall rating when potential impact of expected grade was ruled out, indicating that a composite score of overall rating could be used for summative purpo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시창(Yum Sichang). (2008).대학 강의평가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교육평가연구, 21 (2), 25-52

MLA

염시창(Yum Sichang). "대학 강의평가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교육평가연구, 21.2(2008): 2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