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이용수 1353

영문명
An analysis on vocational exploration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middle-aged women with discontinued employment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윤혜경(Yoon Hye Kyoung)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4권 제1호, 83~1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간 선행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고학력 중장년 여성들의 직업진로 탐색 과정을 가시화하고, 그 맥락을 여성주의ㆍ평생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고학력 중장년 여성들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은 암중모색(暗中摸索)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직업진로 탐색과정을 직업교육 참여경험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3단계로 유형화될 수 있었으며, 다수의 직업교육에 참여하였으나 3단계인 직업진로 결정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한 사례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또한 각 단계별로 직업교육 활용 양상도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수강생의 진로탐색 수준에 따라 교육요구가 다름을 고려하여 진로탐색단계별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구직지원책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고학력 중장년 여성들의 직업정보 취득을 위한 사회적 경로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직업정보 취득 경로는 3가지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극히 개인적ㆍ제한적ㆍ간접적 맥락에서 직업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고학력 중장년 여성들에게 직업교육이 인생구조 전환, 새로운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데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진로상담-직업교육-구직지원’이 연계되는 통합적 직업교육체제를 구축하여 이들의 학습권을 보장해야 함을 주장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highly educated women explore a new vocational career in their middle age and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to get a job.
  Adopting the qualitative approach with a purposeful sampling,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irteen highly educated middle-aged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vocation education program to find a job.
  The aspect of vocational career search is as follows. Career search for them is , groping in the dark" in a way since it involves a number of trial-and-errors due to lack of social support system. The exploration for the vocational career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hases based on the experiences in the vocation education. First, they becom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initiating searching process out of home. Second, they take a variety of vocation education without a particular career in mind. In third phase, they decide an occupation and intensively obtain the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that occupation. These phases do not appear in this order to all the interviewees and they are in different phases. And they use vocation education with different purposes on each phases. Different educational needs of the learners in different phas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the classes. In addition, som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individuals who experience confusion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nd give up the search without advancing to the third phase.
  Majority of the interviewees obtain information on employment mostly from acquaintances, the internet and mass media in limited fashions rather than from vocation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a significant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delivery modalities providing useful employment information meeting the needs of highly educated wome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analysis, I mak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vocation education of the highly educated middle-aged women.
  First, we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needs and desire of women to alter the life structure. Also, the values or missions of women"s vocation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eir desire for the employment should not be regarded as narcissistic focusing only on the self-development but should be recognized as a right of learners trying to fulfill the necessities in life.
  Second, integrated edu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help women find a new course of life even after adulthood since the search for a new vocational career should be open to all ages in this aging society. To achieve the goal, education for the humanities/to know oneself), occupation counseling, training for occupational skills and employment-support system should be accompanied. Consequently, re-structuring of the institu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to support employment in a narrow sense and the search for a direction of life through self-reflection in a broad sense is necessar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선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혜경(Yoon Hye Kyoung). (2008).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 (1), 83-112

MLA

윤혜경(Yoon Hye Kyoung).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1(2008): 8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