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이용수 1176

영문명
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ADHD based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형숙(Kim Hyung-Suk)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9집 4호, 193~222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학적 맥락에서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ADHD 아동을 둔 어머니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관찰 등 삼각 검증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방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은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양육과정은 부정, 시도, 폭발, 포기, 수용의 5단계로 나타났다.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의 유형은 수용형, 소극적 수용형, 갈등 노력형, 방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종교지원과 사회적 지지망의 지원을 강하게 받으면서 자녀의 진단과 사회적 편견과 사회교육제도가 미비한 현실을 받아들인다. 소극적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네 가지 유형 중 어머니의 수용력이 가장 큰 유형으로 자녀의 ADHD 진단을 수용하지만 어떤 변화를 시도하기보다 수용상태로만 머물러 있는 유형이다. 이는 사회적 지지망과 종교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갈등 노력형은 자녀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장애나 병으로 인정하는 것을 꺼리는 참여자이다. 이들은 남편의 지원을 받아 터트리기와 좌절하기의 전략은 약하고 드물게, 내려놓기의 전략은 강하게 사용하여 멍에를 헤쳐 나아가고 있었다. 방황형은 어머니의 수용력, 사회 지지망의 지원, 종교 지원 어느 것 하나 지원이 없는 참여자다. 이들은 진단을 받았지만 여전히 ADHD 자녀양육에 대하여 방황하면서 자녀양육을 멍에로 가장 힘들게 경힘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velop theories on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mothers with ADHD children in the socia-cultural context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riangulation including in 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18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DH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ring experience in ADHD children"s mothers was found to be a process of hav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bearing a yoke appearing.
  "Breaking through with embracing the yoke"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receiving type, passive receiving type, conflicting and struggling type, and wandering type. Receiving type participants have strong religious support and the support.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accept the diagnosis of ADHD, social prejudice and inadequate social education system Passive receiving type participants are most receptive among the four types but they just receive the diagnosis of ADHD but stay in the state of reception. This is because of the absenc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religious support. Conflicting and struggling type participants know that their children have a problem but are reluctant to accept it as a disability or disease. They are weak in the strategies of bursting and frustrating with the husband"s cooperation, and endure the yoke using the strategy of putting down. Wandering type participants do not have any of mother"s receptiveness, support from social support network and religious support. They admit diagnosis but still do not know how to rear their ADHD children, experiencing the yoke of child rearing in the most difficult w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숙(Kim Hyung-Suk). (2007).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 문화, 19 (4), 193-222

MLA

김형숙(Kim Hyung-Suk).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 문화, 19.4(2007): 19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