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0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s to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on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among working married women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최혜지(Choi Hye-Ji)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9집 4호, 75~102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역할 관념 가설을 이론적 근거로 성역할 태도가 기혼취업여성의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2차 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2004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대상자는 6511명 기혼취업여성이며,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을 설명하는 두개의 로지스틱회귀모형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많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미취학자녀가 있으며,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성역할 태도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역할에 전통적 태도를 강고 있는 여성은 임금노동을 자신의 일로 수용하는 정도가 낮아 성역할에 근대적 태도를 갖고 있는 여성과 동일한 시간을 임금노동에 투입한 경우에도,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을 상대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가사노동에 대한 시간부족은 성역할에 대한 태도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여성이 자신의 일로 수용하기 때문에 가사노동에 투입한 시간만이 시간부족인식 정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끝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시간부족인식을 완화하기 위한 합의를 양성 평등적 기치관의 신장, 보육시설 시간의 연동적 운영,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확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Guided by sex role hypothe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s to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on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and unpaid work among working married women.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is study analysed the secondary date set, 2004 Life Time Investig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511 working married women.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nalysed for the perceived lack of time in each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the higher levels of income, more time-use in paid work, and the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Also,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unpaid wor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aising preschoolers,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less time-use in unpaid work, less time-use in paid work. However, the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The reason why the non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ime-use not in unpaid work but in paid work would be explained by whether working married woman accepted paid and unpaid works as their own duties or no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지(Choi Hye-Ji). (2007).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 (4), 75-102

MLA

최혜지(Choi Hye-Ji).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4(2007): 75-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